씁쓸한 현실, 기업 54% “지원자 학벌 채용에 영향 미쳐”

이선용 / 2020-10-20 13:15:00
1.jpg

[공무원수험신문, 고시위크=이선용 기자] 공정성 확보를 위해 블라인드 채용이 확대되고 있지만, 학벌이 취업에 영향을 미친다는 씁쓸한 조사결과가 발표됐다.
 
채용 평가가 직무 역량을 중심으로 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아직 많은 기업이 채용 평가 시 학벌을 무시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최근 사람인(대표 김용환)이 기업 316개사를 대상으로 ‘학벌이 채용 평가에 영향을 미치는지 여부’를 조사한 결과, 절반 이상인 53.5%가 ‘영향을 미친다’라고 답했다. 더욱이 올해 설문조사의 경우 지난해(48.1%)보다 오히려 5.4%p 상승하였다.
 
기업 형태별로는 대기업 66.7%로 중소기업(50%)보다 영향을 미친다고 답변한 비율이 16.7%p 높았다.
 
학벌이 채용 평가에 영향을 미치는 이유로는 절반 이상이 ‘학벌에 따른 역량 차이가 있어서’라는 응답이 58.6%(복수응답)를 1위에 꼽혔다. 다음으로 ▲객관성이 있는 채용 조건이어서 41.4% ▲지원자의 노력에 대한 인정 차원에서 40.8% ▲기존에 채용 시 만족도가 높아서 13.6% ▲활용 가능한 인맥이 많아서 9.5% 등의 순이었다.
 
더욱이 지원자의 학벌은 ‘모든 채용’에서 영향을 미친다는 답변이 48.5%로 가장 많았다. 다만, ‘신입 채용’(46.2%)에서 영향이 있다는 응답이 ‘경력’(8.9%)이나 ‘인턴’(8.9%)의 5배가량 높았다.
 
이는 성과가 중요한 경력에 비해 신입사원의 객관적인 평가 요소로 학벌을 중시하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풀이된다.
 
또 기업들은 학벌이 좋은 지원자를 평가할 때 ‘더 꼼꼼하고 유리하게 평가’(60.4%)하거나 ‘전형 진행 시 우선순위로 선정’(35.5%)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외에 ‘가산점 부여’(24.9%), ‘결격사유 발생 시 구제’(2.4%) 등의 혜택을 주었다.
 
한편, 기업이 채용 시 가장 선호하는 출신 학교는 ‘서울소재 4년제 대학’이 39.1%로 가장 높은 비율을 보였다. 다음으로 △상위 10위권내 명문대학 33.7% △지방거점 국립대학 19.5% △서울·연세·고려대 4.1% △아이비리그 등 해외 명문대 3% 등의 순이었다. 

[ⓒ 피앤피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이선용

교육전문미디어, 교육뉴스, 공무원시험, 로스쿨, 자격시험, 대학입시, 유아·초중등교육, 취업

뉴스댓글 >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