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공무원수험신문, 고시위크=이선용 기자] 면접비도 기업 유형에 따라 큰 편차를 보이는 것으로 조사됐다. 구직자들이 면접을 보기 위해서 지출해야 하는 교통비 등 면접비를 지급하는 기업은 10곳 중 3곳(27.8%)뿐 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기업 유형별로는 대기업이 56.5%로 절반 이상을 차지한 반면, 중소기업은 21.8%에 불과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사람인(대표 김용환)이 기업 400개사를 대상으로 ‘면접비 지급 현황’에 대해 조사한 결과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
또 면접자에게 제공하는 면접비는 평균 3만 원으로 집계됐는데, 이는 지난해 3만 3천 원보다 3천 원이 적었다.
면접비의 경우 기업형태별로 살펴보면, 대기업이 3만 7천 원, 중소기업이 2만 8천 원을 지급하고 있었다. 지난해와 비교하면 중소기업은 3천 원, 대기업은 무려 1만 7천 원이 감소했다.
면접비는 ‘응시자 전원에게 동일 지급한다’라는 기업이 63.1%를 기록하여 가장 많았고, 이어 ‘전원 지급하나 거주지역에 따라 차등지급’(21.6%), ‘원거리 거주 응시자만 지급’(15.3%) 순이었다.
면접비를 지급하는 이유에 대해서는 ‘지원자의 참여에 대한 정당한 대가라서’라는 응답이 53.2%(복수응답)를 기록하며 가장 많았다. 이어 ▲구직자의 경제적인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서 27.9% ▲기업 이미지 관리 차원에서 23.4% ▲인재를 확보하기 위해서 15.3% ▲면접 참여율을 높이기 위해서 14.4% ▲회사가 지방에 있어서 9.9% 등이었다.
반면, 면접비를 지급하지 않는 기업(289개사)은 ‘면접비 지급의 필요성을 느끼지 못해서’라는 응답이 49.8%(복수응답)로 1위에 올랐다. 이외에도 △비용이 부담스러워서 26.6% △면접비를 받기 위해 지원하는 사람이 많을 것 같아서 15.6% △면접 대상자가 많아서 13.5% △코로나19 사태로 인한 경영난으로 지급 여력이 부족해서 10.7% 순이었다.
[ⓒ 피앤피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