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학년도 법학적성시험 추리논증 영역 총평_조성우(메가로스쿨)

이선용 / 2020-07-23 14:06:00
조성우.jpg
▲ 조성우(메가로스쿨)
 

2021학년도 법학적성시험(이하 “제13회 시험”)은 2020학년도에 이어 추리논증 영역이 40문항, 125분으로 치러진 세 번째 시험이었고, 표준점수 산출방식이 변경(추리논증의 경우, 평균 60, 표준편차 12) 적용되는 두 번째 시험이었다. 이러한 측면이 반영되어서인지, 2019학년도와 2020학년도는 비교적 안정적인 시험이었고, 이번 2021학년도의 경우는 다소 변화를 준 시험이었다고 할 수 있다.

 

제13회 추리논증 시험은, 제시문과 선택지(보기)의 분량은 전년도에 비해 다소 줄어들었으나, 수리적 요소가 포함된 언어추리 문항의 증가(이하 ‘언어지문형 수리추리’) 및 추리문항의 증가(60%, 24문항)로 수험생 간 유불리(有不利)를 달리한 시험이었다. 그 특징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논증문항 비중(16문항, 40%)에 비해 추리문항 비중(24문항, 60%)이 높은 추리우위의 시험이었고, 둘째, 법(규범) 관련 제재의 비중은 작년과 동일하게 약 33%(13문항)이 유지되었으나 ‘규범(법규정) 이해 및 적용’ 문제가 9문제로 대폭 확대 출제된 시험이었고, 셋째, 언어적 자료로 구성된 제시문이지만 수리적 요소가 포함된 문항이 적게는 8문항, 많게는 12문항으로 볼 수 있어 문과 성향의 수험생보다 이공계 성향의 수험생에게 유리한 시험이었다.

 

그럼 좀 더 구체적으로 제13회 추리논증 시험을 살펴보도록 하겠다.

 

1) 추리와 논증(비판)의 출제 비중

올해의 경우, 작년보다 추리 문항이 2문항 늘어나고 논증 문항은 2문항이 줄어들어, 추리 문항이 60%(24문항), 논증 문항이 40%(16문항)인 추리우위의 시험으로 출제되었다. 


1.jpg
 
 제시문과 선택지의 분량은 작년보다 줄어들었고, 모형추리(수리추리, 논리게임, 형식적 추리)는 3문항으로 작년과 차이가 없었으나, ‘언어지문형 수리추리’ 문항이 많이 출제(8문항~12문항)되어 상대적으로 문과 성향의 수험생들에게는 부담스러운 시험이었고, 이과 성향의 수험생들에게는 상대적으로 유리한 시험이었다고 할 수 있다. 

 

다수의 수험생이 문과 성향의 수험생이라는 것을 고려할 때, 언어지문형 수리추리 문항의 증가는 난도를 높이는 요소로 작용하였다고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문6(불법행위 준거지), 문7(증권발행 신고의무), 문9(소셜네트워크 사업자), 문28(전기요금)은 단순 숫자적 요소가 포함되어 문제가 구성되었고, 문4(양육휴직/근로시간 단축), 문10(주차장 설치기준), 문11(조건부 상속), 문12(미술품 거래), 문25(정치후원금 영수증), 문27(기생/무임승차), 문32(분배의 불평등), 문34(기대수익)은 요건파악 및 결과 산출에 부분적으로 계산이 필요한 문제였다.

 

반면에, 제시문의 분량은 작년보다 6.2% 짧아졌고(22,042자 → 20,681자), 보기 및 선택지의 분량은 4.6% 증가하여(7,559자 → 7,910자), 전체적으로 3.4%, 약 1,010자 줄어든 시험이었다. 그리고 작년에는 제시문에 한자(甲乙丙丁戊己 등)를 사용하여 표현하였으나 올해는 다시 이전과 같이 한글(갑을병 등)을 사용하였고, 견해(가설, 실험) 구성의 경우에도 작년에는 6개 견해(甲乙丙丁戊己)까지도 사용하였으나 올해는 3개의 견해까지 사용하여 출제된 점 등은 난도를 낮추는 요소로 작용했다고 할 수 있다. 


2.jpg
 

또 하나의 특징적인 부분은, 법률형 문제의 경우 13문제 중 10문제가 추리문항으로 구성되었고, 그 중 9문제는 ‘규범(법규정) 이해 및 적용’ 문제로 그 비중이 대폭 증가(전년 대비 +4문항)하였다는 점, 법률형 문제 13문제 중 정도의 차이가 있기는 하나 수리적 요소가 사용된 문항이 8문항이 있었다는 점인데, 이러한 요소는 딱딱 떨어지는 문제유형이라는 장점도 있으나, 다수의 수험생에게는 체감난도(難度)를 높임과 동시에 문제해결 소요시간의 증가로 이어졌을 수 있다.

 

결론적으로, 개별 문제 유형에 있어서는 특이사항은 없었지만, 수리적 요소가 반영된 문항이 다수였다는 점이, 전체적으로 난도(難度)를 상승시켰다고 할 수 있다.

 

2) 문항 구성 제재

문항 구성 제재에 있어서는 인문 제재가 4문항 줄고, 사회과학 제재가 3문항 늘어, 사회과학 제재의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아진 시험이었다. 또한 문항 구성 제재의 다양화 및 변화를 통해, 정상적인 대학생활과 폭넓은 독서 생활을 강조하고자하는 출제기관의 의지를 엿볼 수 있었다.


3.jpg

3) 난이도

난이도 측면에서 전체 평균은 하락할 것으로 예상한다.

4.jpg
 
추리논증 시험 평균의 경우, 제한된 자료를 가지고 미리 예측하는 것이 의미가 있을 까 싶지만, 수험생들이 강사의 입장을 많이들 궁금해 하고 물어와, 시험 문제를 직접 검토 비교한 후 다수의 모의고사 출제경험 등을 기초로 조심스럽게 예측해 본다면, 2021 LEET 평균은 21.9에서 22.9점 사이에서 형성되지 않을 까 생각한다. 참고로 2020. 7. 23 기준 메가로스쿨 예측자료를 인용하면 다음과 같다.


5.jpg
 

아무튼 이제 제13회 법학적성시험은 끝났다. 마음고생을 해가며 마지막까지 최선을 다한 수험생들에게 LEET 결과와 무관하게 격려의 큰 박수를 보낸다. LEET라는 대한민국 최고의 시험을 준비해 본 경험은 앞으로의 인생에 커다란 자양분이 될 것이다. 이제는 수험전형 중 하나인 LEET에 너무 얽매여 허송세월(虛送歲月)하기보다는, 지친 몸과 마음을 추스르고, 마음의 비중을 자소서•면접 등 나머지 전형으로 옮겨 끝까지 매진할 것을 당부 드린다.

 

2022 LEET 또는 그 이후의 시험을 준비하고자 하는 예비수험생에게는 2021 LEET는 2009 ~ 2021 LEET 중 하나의 시험패턴임을 염두에 두고, 최근 시험 경향을 우선적으로 고려하여 학습에 임해야겠지만, 이전 기출문제와 유사한 비중과 유형으로 언제든 변화를 줄 수 있음을 고려하여 자신의 부족부분을 폭넓게 발견하고 집중적인 훈련을 할 것을 당부 드린다.


[ⓒ 피앤피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이선용

교육전문미디어, 교육뉴스, 공무원시험, 로스쿨, 자격시험, 대학입시, 유아·초중등교육, 취업

뉴스댓글 >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