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 올해의 한자, 20대 ‘이룰 성(成)’ vs 40대 ‘어지러울 란(亂)’

이선용 / 2019-12-31 13:31:00
2019_1231_잡코리아x알바몬_2019-올해의-한자.jpg
 

[고시위크=이선용 기자] 2019년 한 해와 가장 잘 어울리는 한자는 무엇일까? 최근 잡코리아(대표 윤병준)가 알바몬과 함께 성인남녀 3,143명을 대상으로 ‘올해의 한자’를 주제로 설문조사를 진행했다.
 
그 결과 20대는 2019년 올 한해의 한자로 ‘이룰 성(成)’을 꼽았다. 반면 30대는 ‘위태할 위(危)’를, 40대 이상은 ‘어지러울 란(亂)’을 각각 올해의 한자로 선정했다.
 
20대는 15.5%가 올해의 한자 1위는 ‘이룰 성(成)’을 선택했고, 이어 ‘어지러울 란(亂, 11.8%)’과 ‘위태할 위(危, 11.8%)’가 각각 올해의 한자 2, 3위를 차지했다. ‘외로울 고(孤, 9.9%)’와 ‘얻을 득(得, 7.0%)’이 나란히 5위 안에 올랐다. 또 ‘편안 안(安, 6.8%)’, ‘즐거울 락(㦡, 6.2%)’, ‘부지런할 근(勤, 5.2%)’, ‘나아갈 진(進, 4.6%)’, ‘다툴 쟁(爭, 3.0%)’이 차례로 순위를 이어 20대 응답자들이 생각하는 올해의 한자에는 긍정적인 의미와 부정적인 의미의 한자가 골고루 섞여 있었던 것으로 풀이된다.
 
반면 30대가 생각하는 올해의 한자로는 ‘위태할 위(危)’가 16.8%로 1위, ‘어지러울 란(亂)’이 13.4%로 2위를 차지해 20대와는 양상을 달리했다. 3위는 ‘이룰 성(成, 8.4%)’이 차지했으며 ‘외로울 고(孤, 7.9%)’, ‘편안 안(安, 7.9%)’이 차례로 뒤를 이었다.
 
특히 40대 이상의 경우 올해를 나타내는 한자 1~5위가 모두 부정적인 의미를 가진 것이어서 눈길을 끌었다.
 
40대 이상 응답자가 꼽은 올해의 한자 1위는 ‘어지러울 란(亂, 19.8%)’이 차지했다. 이어 ‘어두울 몽(蒙)’과 ‘위태할 위(危)’가 각각 11.5%의 응답을 얻어 공동 2위, ‘다툴 쟁(爭)’과 ‘외로울 고(孤)’가 각각 7.6%의 응답을 얻어 공동 4위에 올랐다.
 
직업군별 올해의 한자를 살펴보면 대학생과 알바생은 ‘이룰 성(成, 대학생 18.8%, 알바생 15.8%)’을, 취준생과 직장인은 ‘위태할 위(危, 취준생 15.2%, 직장인 15.3%)’를 각각 1위에 꼽았다. 자영업자가 꼽은 올해의 한자는 ‘어지러울 란(亂, 13.4%)’이었다.
 
한편, 성인남녀가 희망하는 새해의 한자 1위에는 ‘나아갈 진(進, 15.7%)’이 꼽혔다. 잡코리아-알바몬 공동설문 결과 20대 응답자의 전폭적인 지지 속에 ‘나아갈 진(進)’이 내년을 대표하는 최적의 한자 1위에 등극했다.
 
20대는 새해를 대표하길 희망하는 한자에 ‘나아갈 진(進)’을 18.9%로 1위에 꼽았다. 이어 ‘평탄할 탄(坦, 10.0%)’이 2위를, ‘부유할 부(富, 8.7%)’가 3위를 차지했다. 30대는 ‘이룰 성(成, 9.6%)’을 1위에 꼽은 데 이어 ‘부유할 부(富, 7.7%)’와 ‘밝을 명(明, 7.2%)’을 각각 2, 3위에 꼽았다. 40대 이상이 희망하는 새해의 한자 1위는 ‘편안 안(安, 15.3%)’이었으며, ‘부유할 부(富, 13.7%)’와 ‘형통할 형(亨, 8.4%)’이 그 뒤를 이었다.

[ⓒ 피앤피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이선용

교육전문미디어, 교육뉴스, 공무원시험, 로스쿨, 자격시험, 대학입시, 유아·초중등교육, 취업

뉴스댓글 >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