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직 변호사와 로스쿨 학생 및 교수가 변호사시험 합격자 수를 놓고 충돌한 가운데, 참여연대가 변호사시험의 자격시험 전환을 촉구하고 나섰다. 참여연대 사법감시센터는 22일 성명을 발표하고, 변호사시험 합격자 선정기준을 총입학정원에서 응시생 수로 바꿔야 한다고 주장했다.
참여연대는 “한국의 로스쿨 체제는 세계적으로 유례없는 총입학 정원제라는 진입 규제와 함께 종래 사법시험보다 더 가혹한 조건에서 실시되고 변호사시험 제도에 의하여 현격히 왜곡 변형되어 변호사시험 준비학원과 다를 것이 없다는 비난을 받아왔다”며 “특히 변호사시험은 총입학정원(현재 2,000명)을 기준으로 1,500~1,600명 정도만 합격시키는 정원제, 경쟁시험제도로 고착되면서 로스쿨 교육을 황폐화 시켰을 뿐 아니라 응시생의 절반이 넘는 인원이 그 능력의 여하에도 불구하고 탈락하여 교육에 의하여 변호사를 양성하겠다는 당초의 목표가 철저히 무시돼 버리는 상황을 야기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참여연대 사법감시센터는 법무부가 지금부터라도 변호사시험을 자격시험화 하여 그 근거 법률에서 명령한 바와 같이 로스쿨의 설립취지에 부합하게 적절한 법학 교육을 받은 수료생들이 무리 없이 변호사자격을 딸 수 있도록 할 것을 요구했다.
이에 참여연대는 “법무부는 조속히 변호사시험을 자격시험으로 전환하기 위한 작업에 착수하고 또한 로스쿨 교수들과 시민사회의 대표들이 실질적인 다수를 차지하는 준비기구를 구성할 것을 제안한다”고 전했다.
특히 곧 합격자 결정을 할 제8회 변호시험의 경우에는 잠정적으로 총입학정원이 아니라 총응시생을 기준으로 합격자 비율을 결정하여 특별히 자질이 떨어진다고 인정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합격시킴으로써 그들이 변호사로서 우리 사회에서 법과 정의를 실현하는 주축이 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밝혔다.
마지막으로 참여연대는 로스쿨 체제의 10년에 대한 엄정한 평가와 함께, 향후 10년 혹은 20년을 대비한 제도적 개선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제대로 된 협의기구를 설치할 것을 제안했다.
참여연대는 “그동안 교육부의 법학교육위원회나 변협의 법학전문대학원평가위원회, 그리고 법학전문대학원협의회 등은 자신에게 주어진 역할 조차도 제대로 수행하지 않았으며 현재의 변호사 양성체제가 나아가 우리 법률가 사회의 구조적인 한계들을 극복하기 위한 어떠한 노력도 행하지 않았다”며 “참여연대 사법감시센터는 변호사업무의 주관기관인 법무부와 그 수요자인 시민사회가 중심이 되어 보다 바람직한 법률가 체제를 계획·구성하기 위한 협의체를 조속히 구성할 것을 제안한다”고 덧붙였다.
[ⓒ 피앤피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