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해 관세사 1차 시험 합격자는 전체 1,008명으로 2015년 한중 FTA 발효 이후 관세사 응시자와 함께 합격자도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작년 1차 시험은 무역영어와 회계학의 높은 난도에 응시생을 압박하기 충분했다는 평가다. 실제 채점결과, 회계학 과락률은 53.04%로 가장 높았다. 이어 무역영어가 33.9%, 내국소비세법 22.47%, 관세법개론 16.38%를 기록했다.
수험생 A씨는 “회계학의 경우, 생각보다 이론형 문제 비중이 적어서 까다롭게 느껴졌다”며 “특히, 실문자본유지개념, 총원가비례분배, 퇴직급여 등 생소한 용어들로 조금 당황스러웠다”고 말했다. 또 무역영어의 경우 수험생 K씨는 “크게 어렵게 출제됐다고 보긴 어렵지만 난이도 중상 수준은 되는 것 같다”며 “시간배분이 중요했다”고 응시소감을 밝혔다.
지난해 시험의 과목별 평균점수를 살펴보면 ▲관세법개론 65.50점(2015년도 50.85점) ▲무역영어 51.09점(2015년도 44.83점) ▲회계학 38.99점(2015년도 37.58점) ▲내국소비세법 54.19점(2015년도 54.59점)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지는 2016년도 제33회 관세사 1차 시험의 과목별 출제평을 살펴보는 자리를 마련했다. 이번 호는 그 두 번째 시간으로 무역영어 과목의 출제평을 살펴본다.
▶출제의 기본방향은?
지난해 무역영어는 응시자 2,851명 중 969명이 과락하여 33.99%의 과락률을 보였다. 이는 회계학에 이어 두 번째로 높은 과락률. 무역영어 출제위원은 “우선, 출제의 기본 방향은 무역관련 국제협약, 무역영어 등의 내용 숙지여부 및 이해도 측정에 뒀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관세사로서 숙지해야할 내용 위주로 문제를 출제하고 문제 본문 및 답항 선택 시 혼동을 줄 수 있는 지문 구성은 가급적 피하고자 했다”고 설명하였다.
또 “관세사 업무를 수행함에 있어 꼭 알아야 할 기본적인 지식과 이에 기초한 응용문제를 적절히 배합함으로써, 실무에서 접할 수 있는 다양한 문제들에 대한 실천적 대응력을 강화하는데 주안점을 뒀다”고 강조했다.
▶난이도 조절
출제위원은 “이번 시험에는 국제협약 등의 기본 내용을 충실히 숙지하고 있는 수험생이라면 풀 수 있는 문제를 출제하고자 했다”고 말했다. 특히 “현장성 높은 문제와 비교적 쉬운 문제를 혼합하여 예년 난이도와 비슷하게 냈다”고 밝혔다.
▶문제 출제 시 강조점은?
문제출제 시 강조점과 관련하여서는 “무역영어 과목의 필수적인 내용을 숙지‧이해하고 있는지를 측정하는데 중점을 뒀으며, 기본 개념 이행 및 분석력, 문제 해결 능력 등을 알고자 했다”고 강조하였다.
[ⓒ 피앤피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