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법연수원, 교수 로스쿨 출강시키고 돈은 국민 세금으로 지급”

이선용 / 2016-09-29 12:58:00

 

사법연수원.jpg▲ 사진제공 : 사법연수원
 

 

사법연수원의 어두운 단면이 드러났다. 사법연수원이 소속 교수들을 로스쿨에 출강시키고 그 보수는 국민 세금으로 지급한 것으로 드러나 논란이 되고 있다. 또 사법시험 폐지를 앞두고 연수생 수가 급감하는데도 불구하고 교수 정원을 늘려 자체 예산을 확보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23일 대법원이 법사위 박주민 의원에게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사법연수원은 지난해 10명의 교수를 로스쿨에 출강시키고 그 보수를 전액 연수원 인권비로 지급하였다. 사법연수원은 지난 20128명을 시작으로 지난해 10명의 교수를 주 1회에서 3회 전국 24개 로스쿨에 출강시켰다. 이에 대해 대법원은 로스쿨 학생들의 법조인으로서의 기초적인 재판실무능력을 배양하고 법조인 양성에 대한 책무를 이행하며 우수한 재판연구원 또는 법관 충원을 위한 토대를 마련하기 위한 취지라고 해명했다.

 

그러나 로스쿨은 학생에게 제공해야 하는 교육서비스이지 국민의 세금으로 제공해야 할 사항이 아니라는 지적이다. 그런가하면 사법연수원은 5년 전인 20112,019명이었던 연수생 수가 지난해 591, 올해 403명으로 줄었을 뿐 아니라 내년에는 250, 2018년에는 150명으로 감축될 것으로 예정됐다.

 

하지만 사법연수원의 교수 정원은 연수생 수와 역행하고 있었다. 교수 정원은 201265명에서 201466명으로 점차 늘려 지난해 67명으로 확대했다. 반면 실제 교수 현원은 201261명에서 지난해 43명으로 줄었다. 그런데도 대법원은 예산을 교수 정원 기준으로 과다 편성하고 남은 예산을 국선변호료 등 엉뚱한 곳에 쓴 사실이 밝혀졌다.

 

이에 대해 박주민 의원은 법조일원화는 다양한 분야의 경험을 쌓은 법조경력자를 법관으로 임용한다는 취지인데, 사법연수원 교수들이 로스쿨 재학생들을 대상으로 법관 충원을 위한 교육을 한다는 것은 정면으로 취지에 배치된다또 교수 정원을 늘려 예산을 확보하고 심지어 그 예산을 전혀 다른 항목에 쓰는 것은 명백한 국회의 예산 심사권 침해라고 지적했다.

[ⓒ 피앤피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이선용

교육전문미디어, 교육뉴스, 공무원시험, 로스쿨, 자격시험, 대학입시, 유아·초중등교육, 취업

뉴스댓글 >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