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앤피뉴스=마성배 기자] 법무부(장관 정성호)가 과학기술 분야 우수 인재의 유치와 유출 방지를 위한 새로운 비자 제도를 내놨다. 새 정부 최우선 국정과제에 맞춰 마련된 ‘K-STAR 비자트랙’은 한국에서 수학한 외국인 석·박사급 인재들이 안정적으로 정착해 연구를 이어갈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제도다.
그동안 과학기술 우수인재 영주·귀화 패스트트랙 혜택은 KAIST·DGIST·UNIST·GIST·UST 등 5개 과학기술원 졸업 유학생에만 한정됐다. 그러나 이번 개편으로 약 20여 개 일반대학 유학생까지 문호가 열리며, 심사를 통과하면 취업 요건 없이 곧바로 거주자격(F-2) 신청이 가능해진다.
법무부는 제도 확대로 연간 약 100명 수준에 머물던 외국인 우수 인재가 400명까지 늘어날 것으로 내다봤다. 이를 통해 한국이 육성한 고급 인재들이 해외로 유출되지 않고 국내 연구 현장에서 활동을 이어가며 국가 경쟁력 강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23일 정부과천청사에서 열린 사업설명회에는 관계 부처와 27개 대학이 참여했다. 대학 관계자들은 “일반대학까지 확대된 점이 의미 있는 변화”라며 “더 많은 우수 인재가 국내에 정착해 연구를 이어간다면 과학기술 분야 국가 경쟁력이 실질적으로 강화될 것”이라고 평가했다.
향후 절차는 10월까지 대학별 신청 접수 → 민간평가단 심사 → 12월 최종 선정대학 발표 순으로 진행된다. 평가 항목에는 유학생 관리 체계, 교육 여건, 우수인재 지원 계획 등이 포함되며, 영주·귀화까지 이어질 수 있는 지속적 지원 방안이 특히 중점적으로 검토된다.
정성호 법무부 장관은 “K-STAR 비자트랙은 대한민국 과학기술의 미래를 이끌 외국인 인재들이 안정적으로 정착할 수 있도록 만든 제도”라며 “이들이 영주와 귀화까지 이어질 수 있도록 대학과 긴밀한 협력 체계를 갖춰 나가겠다”고 밝혔다.
피앤피뉴스 / 마성배 기자 gosiweek@gmail.com
[ⓒ 피앤피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