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민 “10명 중 4명, 혐오표현 겪었다”…인권 보장 속 ‘차별 현실’ 여전
마성배 기자
gosiweek@gmail.com | 2025-04-04 14:42:18
“이동권·주거권·노동권 등 사회적 약자 인권정책 강화 필요”
[피앤피뉴스=마성배 기자] 경기도민 10명 중 4명은 지난 1년간 성별이나 국적, 연령, 장애, 성적 지향 등을 이유로 한 혐오 표현을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도민 다수는 경기도 내 인권 보장 수준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했지만, 여전히 일상 속 차별과 혐오의 그림자가 깊게 드리워져 있다는 점도 함께 드러났다.
경기도는 지난 2월 28일부터 3월 9일까지 도민 6,380명을 대상으로 ‘경기도 인권 관련 도민인식조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4일 공개했다. 이번 조사는 도내 인권 현황을 진단하고, 도민이 체감하는 인권침해·차별 사례를 수렴해 향후 인권 행정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진행됐다.
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72.1%는 ‘경기도민으로서 인권이 보장되고 있다’고 느낀다고 응답했다. 반면 ‘보장되지 않고 있다’는 응답은 3.2%에 그쳤다. 그러나 ‘지난 1년간 혐오표현을 직접 혹은 간접적으로 접한 적이 있느냐’는 질문에는 39.4%가 “그렇다”고 응답했다.
혐오 표현 경험자 2,516명을 대상으로 구체적인 유형을 물은 결과(복수응답 가능), 가장 많은 56.5%가 ‘성별 혐오’를 꼽았다. 이어 ▲국적·인종·이주민·소수 종교(46.9%) ▲연령(46.7%) ▲장애(44.5%) ▲외모(37.6%) ▲성적 지향(32.4%) 순으로 나타났다.
경기도 내에서 특정 집단의 인권이 얼마나 존중받고 있는지를 묻는 항목에서는 아동청소년(67.1%), 노인(61.5%), 여성(60.9%)에 대한 평가는 비교적 높았으나, 비정규직 노동자(34.1%), 난민(31.5%), 성소수자(28.2%) 등 소외계층에 대한 인권 존중 수준은 40% 미만으로 매우 낮게 나타났다.
도민들이 인권정책 강화가 필요하다고 본 분야는 ▲장애인·임산부·노약자 등 사회적 약자의 이동권 보장 ▲이주노동자의 근로 및 생활환경 개선 ▲청년 주거권 확보 등이었다. 이는 단순한 권리 보장 차원을 넘어, 사회 안전망과 연계한 실질적인 생활 인권 개선이 필요하다는 시민사회의 요구로 해석된다.
최현정 경기도 인권담당관은 “이번 조사를 통해 드러난 도민의 다양한 목소리는 인권 정책 수립에 있어 매우 중요한 지표”라며 “향후 정책 기획과 집행 전반에서 도민 의견을 적극 반영해 더 촘촘한 인권행정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경기도는 도 산하 기관과 공공시설, 사회복지기관 등에서 발생한 인권침해 사례에 대해 경기도 인권센터를 통해 상담 및 구제 신청을 받고 있다. 제3자에 의한 신고도 가능하며, 모든 상담은 철저히 비공개로 처리된다. 접수는 유선(031-8008-2340 / 031-120 + ARS 8) 또는 누리집(www.gg.go.kr/humanrights)을 통해 할 수 있다.
피앤피뉴스 / 마성배 기자 gosiweek@gmail.com
[ⓒ 피앤피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