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용 어려운 이유 ‘직무에 적합한 전공, 경험 갖춘 지원자 부족’
[공무원수험신문=서광석 기자] 중소기업이 가장 채용하기 힘든 분야는 영업직인 것으로 조사됐다.
최근 잡코리아가 최근 직원 수 300인 미만의 중소기업 283곳을 대상으로 ‘직원 채용 경쟁력 현황’에 대해 조사를 진행했다.
그 결과, 설문에 참여한 기업 중 45.9%가 ‘매번 인력 채용 때마다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답했다.
또 47.4%는 ‘채용하려는 직무와 경력 요건에 따라 다르다’라고 밝혔고, 6.7%의 기업만이 ‘인력 채용이 어렵지 않다’라고 응답했다.
그럼 중소기업들이 인력 채용에 어려움을 겪는 이유는 무엇일까?
이에 대해 응답 기업들은 ‘채용하려는 직무에 필요한 전공 지식이나 경험 등을 갖춘 인재 찾기가 어렵다’라는 의견이 응답률 43.6%로 가장 높았다.
다음으로 ▲지원자가 많지 않아 적합자를 선발하기가 어렵다(36%) ▲연봉 수준 맞추기가 어렵다(32.2%) ▲면접 날 노쇼, 허수 지원자가 많아 실제 채용으로 이어지기 어렵다(25.4%) ▲채용한 지 얼마 안 돼 퇴직하는 직원이 많아 채용업무가 너무 빈번하다(25.0%) 등으로 조사됐다.
특히 기업들이 가장 채용하기 힘들어하는 직무로는 ‘영업직’이 23.9%로 가장 높았다.
이어 ▲IT/개발직 21.2% ▲마케팅/홍보직 21.2% ▲기획/전략 20.8% ▲연구개발/설계 20.5% 순이었다.
또, 설문에 참여한 중소기업 인사/채용담당자들에게 채용이 가장 어려운 경력 년차를 복수응답으로 꼽아보게 한 결과 ‘신입사원’ 채용이 어렵다는 의견이 응답률 45.5%로 가장 높았다.
다음으로 △경력 5~7년차 39.8% △경력 3년차 37.5% △경력 10년 차(23.5%) △경력 15년차 이상(14.4%) 순으로 답했다.
[ⓒ 피앤피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