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무원수험신문, 고시위크=이선용 기자] 코로나19로 장기화로 비대면 선호 경향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채용시장에서도 비대면 채용이 대세로 떠오르고 있다.
최근 사람인(대표 김용환)이 기업 386개사를 대상으로 ‘비대면 채용 현황’을 조사한 결과, 45.1%가 ‘도입했거나 도입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도입했거나 도입하려는 비대면 채용 전형은 ‘화상 면접’이 82.8%(복수응답)로 압도적으로 많았다.
이어 ▲온라인 인적성 검사 23% ▲온라인 직무 테스트 13.2% ▲AI 면접 12.1% ▲온라인 채용설명회 9.8% 등의 순이었다.
또 현재 비대면 채용을 운영 중인 기업(67개사)들의 경우, 비대면 채용을 도입한 시점은 ‘2021년 상반기’(23.9%), ‘2021년 하반기’(22.4%), ‘2020년 상반기’(19.4%), ‘2020년 이전’(19.4%), ‘2022년 상반기’(9%) 등의 순으로 코로나 팬데믹이 본격적으로 시작하거나 확산한 시점에 도입한 경우가 많았다.
비대면 전형의 만족도는 ‘대면 채용보다 떨어진다’는 응답이 44.8%로, ‘대면 전형보다 높다’는 응답(22.4%)의 2배였다. 32.8%는 ‘차이가 없다’고 답했다.
그러나 비대면 전형을 운영하는 기업의 10곳 중 7곳(71.6%)은 팬데믹 종식 이후에도 비대면 채용을 유지하거나 확대할 것이라고 밝혀, 비대면 전형이 채용의 새로운 형태로 확고히 자리를 잡아가고 있음을 보였다.
한편, 기업들은 비대면 채용 전형에 대해서 59.6%가 ‘긍정적’이라고 답했다.
비대면 채용이 긍정적인 이유는 ‘시간과 장소의 제약 없이 진행할 수 있어서’라는 응답이 81.3%(복수응답)로 1위를 차지했다.
다음으로는 △감염병 등을 예방할 수 있어서 48.3% △전형 운영, 평가 관리가 빠르게 진행돼서 21.7% △지원자들의 지원이 늘어날 수 있어서 21.3% △채용에 드는 비용이 절감돼서 20.9% △오프라인보다 다양한 채용 평가 기법 활용이 가능해서 13.9% 등이었다.
[ⓒ 피앤피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