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직 단념 이유 1위 ‘굳게 닫힌 취업 문 뚫기 어려워 아예 포기’
[공무원수험신문, 고시위크=이선용 기자] 일하지 않고 일할 의지도 없는 청년 구직자, 이른바 ‘니트족’으로 지냈던 직장인이 10명 중 8명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잡코리아(대표이사 윤병준)가 최근 20~30대 남녀 직장인 2,329명을 대상으로 ‘구직 활동 단념 경험’에 관한 설문조사를 진행한 결과, 취업준비생 시절 구직이나 취업을 위한 노력을 단념하고 니트족으로 지낸 경험이 있다고 밝힌 응답자가 ‘84.5%’나 됐다.
또 니트족으로 지낸 경험이 있다고 답한 직장인들에게 구직 활동을 단념했던 이유(복수응답)를 물었더니, 51.8%가 ‘코로나19와 경기침체 등으로 굳게 닫힌 취업 문을 뚫을 수가 없어 취업 활동을 아예 포기했다’라고 응답했다.
다음으로는 ▲계속되는 탈락으로 인해 심리적으로 위축됐었기 때문에(48.2%) ▲주변의 기대감 및 내 눈높이에 맞는 기업으로 취업이 어려워서(30.2%) ▲건강 등 개인 사정으로 인해(18.1%) ▲취업이 아닌 다른 일을 도전해 보려고(11.8%) 등을 이유로 들었다.
이들이 니트족(구직 활동 단념)으로 지낸 기간은 평균 6개월 정도인 것으로 집계됐다.
구직 활동 단념 기간 동안에는 ‘취업과 무관한 단기 아르바이트를 하며 보냈다’라는 의견이 45.6%로 가장 높았다. 이어 취미 활동을 하며 시간을 보냈다(36.6%), 아무것도 하지 않고 무기력하게 시간을 보냈다(34.2%), 취업할 의지는 없었지만 하는 척은 했다(26.8%) 등이었다.
그렇다면, 구직을 단념했던 이들이 취업 활동을 다시 시작하게 된 계기는 무엇일까?
이에 직장인들은 △당장 생활비 등을 벌어야 하는 경제적 절박함 때문에(48.7%) △어느 정도 쉬고 났더니 저절로 노력하게 됨(23.6%) △가족 및 주변 지인들의 관심과 응원 덕분에(15.9%) △정부에서 지원해 준 취업활동비와 실업수당 덕분에(9.6%) 구직 활동을 다시 시작했다고 밝혔다.
[ⓒ 피앤피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