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공무원수험신문=이선용 기자] 기업들이 직원을 채용할 때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인재상은 무엇일까? 최근 사람인(대표 김용환)이 기업 334개사를 대상으로 ‘가장 중요하게 평가하는 인재상 키워드’를 조사한 결과, ‘책임감’이 17.4%를 차지하여 1위에 올랐다.
이어 △성실성 15.9% △전문성 12.3% △협력·팀워크 11.1% △정직과 신뢰 10.5% △열정 9.6% △소통 6% 등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같은 조사에서는 ‘성실성’이 1위였다. 또, 작년 조사에서 8위였던 ‘협력·팀워크’가 4위로 4계단이나 오른 점이 눈에 띈다.
특히 경영 환경의 불확실성이 가중되면서 최근 3년간 인재상 키워드에 변화가 있는 기업도 10곳 중 3곳(33.5%)이 넘었다.
이들 기업이 인재상 키워드에 변화를 준 이유로는 ‘경영 환경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서’라는 응답이 51.8%(복수응답)로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 ‘세대·사회상 변화로 인재의 특징도 변해서’(40.2%), ‘인재 운영 전략이 바뀌어서’(17%), ‘신사업, 해외진출 등 경영전략의 변화가 있어서’(13.4%) 등이었다.
변화에 따라 중요하게 평가하게 된 인재상 키워드 역시 ‘책임감’(26.8%, 복수응답)이 1위로 꼽혔다.
이어 ‘전문성’(24.1%), ‘소통’(19.6%), ‘실행력’(19.6%), ‘협력/팀워크’(18.8%), ‘열정’(15.2%), ‘도전정신’(15.2%) 등으로 조사됐다.
이는 기업들이 위기일수록 책임감 있는 자세를 가지고 어떠한 상황도 견뎌낼 수 있는 인재를 선호하는 데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한편, 인재상 부합 여부가 당락에 미치는 영향은 평균 58.1%로 집계됐다. 실제로, 스펙이 부족하지만 인재상이 부합해 합격시킨 경험이 있다고 밝힌 기업은 10곳 중 8곳(82.6%)을 넘었다.
반대로 스펙은 충분하나 인재상이 부합하지 않아 탈락시킨 경험이 있는 기업도 79.3%에 달했다.
더욱이 직무수행 역량과 인재상 부합 여부 중 당락에 더 영향을 미치는 것은 ‘인재상 부합여부’로 나타났다.
세부적으로 보면, ‘둘 다 동일하다’라는 응답이 47.6%로 가장 많았으나, ‘인재상 부합 여부’를 선택한 기업이 26.6%로, ‘직무수행 역량’(25.7%)을 선택한 기업보다 근소한 차이로 더 많았다.
채용 과정에서 인재상 부합 여부를 평가하는 방법(복수응답)으로는 ▲실무면접 64.1% ▲인성면접 40.4% ▲자기소개서 내용 35.3% ▲이력서 항목 기재 내용 17.7% 순으로, 주로 면접에서 인재상을 파악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 피앤피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