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직사회, 인공지능 인사정책지원 플랫폼 도입

이선용 / 2018-12-26 08:59:00

공무원수험신문 웹용(289)_5.jpg
 
 

인공지능이 공직사회의 인사정책에 까지 확대된다. 정부 부처의 각 실·국장, 과장 등에 적합한 맞춤형 인재를 과학적으로 분석, 추천하는 인공지능(AI) 인사정책지원 플랫폼이 도입된다.

 

인사혁신처(처장 황서종)는 역량 있는 우수 인재를 적소에 배치하기 위한 인종지능형 인재추천식별 및 지원 체계를 최근 도입했다고 23일 밝혔다.

 

이는 4차 산업혁명시대를 대비하고, 공정하고 투명한 정부 인사관리 실현을 위한 인사정책지원 플랫폼 사업의 핵심으로, 전자인사관리시스템의 인사정보와 전자문서 정보를 융합·분석하여 과학적 인사정책을 수립하고 인사행정의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기 위함이다.

 

플랫폼은 먼저, 해당 직위의 직무활동과 직위에 맞는 성과 등 직무요건을 정의하고 AI가 이를 자동으로 생성하도록 했다. 또한 전자문서와 직위가 속한 각 부처의 기능분류 정보를 분석하여 직위의 업무활동, 업무성격을 도출하고 직위 대상자의 보직경로, 역량평가, 성과 정보 등 인사정보를 활용·분석하여 직무에 필요한 인사 요건이 만들어지도록 하였다.

 

또한 실·국장, 과장급 직무에서 최고의 성과를 창출하는데 가장 적합한 인사 추천의 기준을 마련하고, 직무수행에 필요한 맞춤형 인사후보자를 자동 추천해 주는 모델도 개발되었다.

 

국가인재데이터베이스는 인터넷에 공개된 인물정보, 논문 등 관련 데이터를 수집·분석하여 인물정보를 최신화하고, 이를 강화하여 인재 DB의 데이터 품질을 높였다. 인재 추천의 효율성을 높이는 시스템도 전문분야, 경력정보, 연구활동 등 각종 데이터를 분석, 종합하여 직위에 적합한 후보자 군(POOL)을 제공하는 맞춤형 인재추천 지원체계도 만들었다.

 

인사혁신처 정만석 차장은 지능정보 기술을 인사행정 분야에 선도적으로 적용하여, 기존 방식에서 과감히 탈피, 정부인사의 대국민 신뢰 확보를 위하여 직위·직무 성과 중심의 인사관리체계로 전환하고, 적재적소 인사원칙을 구현해 나가겠다앞으로도 지능형 정부를 선도할 인사정책지원 플랫폼 서비스 영역을 확대·발전시켜 데이터 분석을 통한 인사정책이 활성화 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 피앤피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이선용

교육전문미디어, 교육뉴스, 공무원시험, 로스쿨, 자격시험, 대학입시, 유아·초중등교육, 취업

뉴스댓글 >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