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한민국에서 가장 안정적인 직업 1순위는 바로 공무원이다. 그래서일까? 공무원이 되기 위해 대한민국 젊은 청춘들은 늦은 밤까지 책상 앞을 지키며 자기 자신과의 싸움을 이어가고 있다.
청춘들이 공무원이 되고자 하는 이유는 정년이 보장되는 ‘고용 안정성’과 ‘노후 연금’에 대한 기대감 때문이다.
더욱이 취업준비생뿐 아니라 현재 직장에 다니고 있는 직장인들 사이에서 공무원 시험을 준비하는 이들을 심심찮게 찾아 볼 수 있다.
최근 잡코리아 설문조사에 따르면 취업준비생과 직장인 10명 중 2명은 ‘공무원 시험을 준비했던 경험이 있다’고 밝혔다. 또 ‘현재 공무원 시험을 준비하고 있다’고 스스로 공시생임을 밝힌 취업준비생과 직장인도 10명중 1명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잡코리아가 20~30대 취준생 및 직장인 총 2,858명을 대상으로 「공무원 시험 준비 경험」에 대해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공무원 시험을 준비했던 경험이 있거나 현재 준비하고 있다’는 응답자가 32.9%(941명)로 10명중 3명에 달했다. 이러한 답변은 취준생(31.3%)보다 직장인(37.2%)이 소폭 높았다.
또 ‘과거 공무원 시험을 준비 했었다’는 응답자는 전체 응답자 중 21.6%에 달했고, ‘현재 공무원 시험을 준비하고 있다’는 응답자도 전체 응답자 중 11.4%(325명)로 각 10명중 1명으로 집계됐다.
현재 공무원 시험을 준비하고 있다는 응답자는 취준생이 10.9%, 직장인이 12.6%로 직장인이 소폭 높았다. 준비하는 공무원 시험은 예상대로 ‘9급 공무원 시험’을 준비하는 취준생과 직장인이 64.0%로 가장 많았다. 이어 ‘7급 공무원’을 준비한다는 응답자가 16.0%로 그 뒤를 이었다. 이외에 직장인 중에는 ‘민간경력자 일괄채용’을 준비한다는 응답자가 13.9%로 10명중 1명 정도에 달했다. 이는 최근 정부가 민간경력자 채용을 늘리고, 공채에 비하여 경쟁률이 상대적으로 낮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공무원 시험 준비 기간은 ‘최대한 2년 정도’ 도전해 보겠다는 취준생과 직장인이 많았다. ‘공무원 시험 준비는 최대한 얼마나 할 계획인가?’ 조사한 결과, ‘최대한 2년’ 도전해보겠다는 응답자가 37.8%로 가장 많았고, ‘최대한 1년’ 도전해보겠다는 응답자가 32.0%로 2번째였다. 그러나 ‘합격할 때까지’ 도전할 것이라는 응답자도 16.0%였다.
반면 공무원 시험을 준비하며 가장 힘든 점을 꼽으라는 질문에 과반수 이상인 65.5%가 ‘치열한 경쟁률’이라고 응답했다. 이어 채용규모가 적고(40.0%), 채용 빈도가 낮아(39.1%)는 의견도 큰 비중을 차지했다. 이외에는 ▲학원비와 교재비 등 비용이 많이 든다(33.2%) ▲공부가 어렵다(21.8%) ▲취업한 친구들을 만날 때나 해가 바뀔 때마다 스트레스를 받는다(11.7%) 등의 순이었다.
한편, 취준생과 직장인이 공무원 시험을 준비하는 가장 큰 이유는 ‘고용 안정성’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공무원 시험을 준비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질문한 결과, ‘정년까지 안정적으로 일하기 위해’ 시험을 준비한다는 응답자가 복수선택 응답률 78.2%로 가장 많았다. 이어 ‘노후 연금을 받기 위해(41.5%)’, ‘일반 기업에 비해 복지제도나 근무환경이 좋아 보여서(40.9%)’ 순이었다. 이밖에 ‘공무원이 적성에 맞는다고 판단해서(16.9%)’, ‘국가와 사회발전에 기여하는 일을 하고 싶어서(11.7%)’ 등의 응답은 상대적으로 적었다.
[ⓒ 피앤피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