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3년간 확대시행 과정서 타 분야 정책과 연계‧융합
서울시의 ‘찾아가는 동주민센터’(이하 ‘찾동’)가 25개 전 자치구로 확대 시행된다. 서울시는 5월 2일부터 66개 동이 추가로 ‘찾동’으로 전환, 전체 424개 동 중 96%인 408개 동에서 ‘찾동’ 서비스를 본격화 한다고 밝혔다.
당초 참여의사를 밝히지 않았던 강남구가 올해 처음으로 6개동부터 참여하고, 나머지 등도 내년 ‘찾동’ 전환을 검토하고 있다. 이렇게 되면 2019년에는 행정서류 발급과 민원행정 중심의 기존 동주민센터 기능이 약화되고 서울시 전역이 주민을 직접 찾아가는 마을‧복지 중심 ‘찾동’ 체제로 바뀌게 된다.
지난 3년간 확대 시행 과정에서 우리동네 주무관, 복지플래너, 방문간호사의 찾아가는 복지서비스뿐 아니라 보건‧의료, 마을공동체 같은 다양한 분야의 정책들과 연계‧융합되면서 새로운 현장복지 서비스가 다양하게 탄생됐다.
‘찾동’ 시행으로 달라진 서울의 복지서비스는 크게 3가지이다. △취약계층 중심 보편 방문 확대 △마을의 다양한 자원과 연계한 동 단위 복지 생태계 △주민이 마을계획의 결정과 실행을 주도하는 마을 공동체 실현이다.
황인식 서울시 행정국장은 “강남구의 참여로 내년 424개 전 동의 찾동화가 눈앞으로 다가왔다”며 “지난 3년간 다양한 분야의 정책과 찾동이 연계‧융합되면서 새로운 복지서비스를 탄생시킨 것처럼 앞으로도 찾동을 현장복지 중심으로 진화‧발전시켜 나가겠다”고 말했다.
[ⓒ 피앤피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