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년도 국가직 9급 과목별 총평] 국어 - 이선재

/ 2018-04-10 13:41:00


 

이선재.JPG
 
2018년도 국가직 9급 시험은 예년 시험에 비해 독해의 비중이 높아진 특징을 보인다지식형 문제(문법+어휘)가 11문제수능형 문제(독해+문학)이 9문제가 출제되었던 작년과는 달리지식형 문제가 8문제그리고 수능형 문제가 12문제가 출제된 것이다이중 7문항이 독해에서 출제됨에 따라독해 문제에 대한 대비가 상대적으로 약했던 수험생들은 시간이 부족하여 어려움을 겪었을 것으로 예상된다

먼저 국어 문법과 규범은 음운론, 형태론, 의미론 등에서 고루 출제되었다. 형태론 및 띄어쓰기를 비롯한 지식 영역은 비교적 평이하게 출제된 반면, 의미론은 예시가 생략된 이론이 나와 학생들이 다소 어려움을 느꼈으리라 생각한다. 또한 고전 문법의 경우, 작년에는 수험생들에게 매우 익숙한 훈민정음 제자 원리가 출제된 반면, 올해에는 용비어천가의 문법이 출제되어 다소 난도가 높아졌다고 평가할 수 있다. 어휘와 한자에서는 한자만 2문항이 출제되어, 여전히 한자 학습이 고득점을 위해 필수적인 영역이라는 점을 증명하였다

국어표1.JPG
 
국어표2.JPG
 
 

5문항이 출제된 문학 영역은 현대 시, 현대 소설, 고전 시가, 고전 산문(소설)이 고루 출제되었다. 예년에 비해 출제율이 다소 높아졌으나 평소 많이 접해 봤던 지문들이 출제되어 무난하게 풀이를 했을 것이라 생각한다. 이번 시험에서 수험생들이 가장 고전했을 부분은 각 문항의 난도가 아니라 시간의 배분이었을 것이라 생각한다. 그동안 국가직 시험지는 3쪽의 분량을 유지하고 있었으므로, 수험생들은 상대적으로 다소 긴 지문에 익숙지 않았을 것이다. 올해 시험은 4쪽 분량, 7개의 독해 문제가 출제됨에 따라, 고득점의 관건은 시간 안배를 전략적으로 했는가에 달려 있다고 본다. 즉 중간 정도의 길이를 가진 독해 지문을 평소에 충분히 풀어, 시간을 단축하는 연습을 했는가가 중요한 것이다.

 

다만 주의해야 할 것은, 지방직이나 서울시를 비롯한 앞으로의 시험이 반드시 이번 시험의 경향과 일치하리라고 예단할 수는 없다는 것이다. 앞서 치러진 서울시 7급과 9급 추가 채용의 경우, 철저히 지식형 문제 위주로 나왔다. 그러므로 절대로 지식 국어, 특히 문법의 학습량을 줄여서는 안 된다. 지방직과 서울시 등의 시험을 준비하는 학생들은 문법, 문학, 어휘 등의 내용을 지속적으로 다져가는 것이 여전히 필요하다.

 

또한 독해가 약한 학생들은 이에 대한 대비를 추가하여 시험을 준비할 것을 권한다. 독해는 단기간에 실력을 올리는 비법이 존재하지 않는다. 중간 정도 길이의 지문을 꾸준히 읽어가면서 훈련을 하는 것만이 가장 올바른 방법이다. 선재국어 이론과 문제 풀이의 모든 수업에서 제공되는 독해야 산다등의 연습 지문으로, 이제부터 꾸준히 독해력 향상에 좀더 힘쓰기를 권한다.

 

*오늘 정말 고생하셨습니다. 최선을 다한 여러분께 합격의 영광이 있기를 두 손 모아 기원합니다.

[ⓒ 피앤피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교육전문미디어, 교육뉴스, 공무원시험, 로스쿨, 자격시험, 대학입시, 유아·초중등교육, 취업

뉴스댓글 >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