헌재, 또 다시 5대 4로 사법시험 폐지 ‘합헌’ 결정 내려

이선용 / 2018-01-04 13:53:00

180103-2-2.jpg
 
한국법조인협회 로스쿨 제도는 국민을 위한 법률서비스 보편화 달성에 기여

 

이변은 없었다. 사법시험 폐지를 정한 변호사시험법 부칙 제2조가 또 다시 합헌 결정이 내려졌다. 지난 9월 내려진 결정을 유지키로 한 것이다. 헌법재판소는 1228일 재판관 54의 의견으로, 사법시험법을 20171231일자로 폐지하기로 한 변호사시험법 부칙(2009. 5. 28. 법률 제9747) 2조가 청구인들의 직업선택의 자유를 침해한다고 볼 수 없다는 이유로 헌법소원심판청구를 기각하는 결정을 선고하였다. 이로써 1963년 최초 도입 돼 54년 동안 법조인 배출 통로였던 사법시험은 올해를 끝으로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지게 됐다.

 

헌재의 이번 결정에 대해 로스쿨 출신 변호사로 구성된 한국법조인협회는 지난 20세기에 사법시험은 전 국민을 위한 법조시대를 표방했지만 그 실상은 2005년부터 2016년까지 사법시험 합격자 8,000여 명 중 고졸 합격자가 총 6명에 지나지 않는 고학력자들을 위한 시험이었을 뿐이다반면 로스쿨은 도입된 지 고작 9년에 지나지 않지만 이미 60여명의 방통대/독학사 출신 법조인을 탄생시킨 진짜 희망의 사다리고 강조했다.

 

이어 현재 도입되어 있는 취약계층 선발제도를 이번 문재인 정부에서 더욱 확대 실시하기로 하는 등 희망의 사다리의 확대도 준비되고 있다로스쿨 교육제도는 사법개혁의 분명한 성과로서 제도 도입 후 회계/재무, 스타트업 기업 창업, 기술특허 전담 변호사, 생활공익법률 등 다양한 분야로의 법조인 진출이 확연히 증가했고, 국민을 위한 법률서비스의 보편화라는 설립취지가 유의미하게 달성되고 있다고 강조했다.

 

한편, 사법시험이 폐지되면서 일각에서는 서민들에게도 희망의 사다리 역할을 할 수 있는 제도적 보완장치가 마련되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이에 국회 박준영 의원은 방송통신대 로스쿨 도입을 위한 변호사시험법 일부개정법률안을 지난달 1일 대표발의 하였다.

[ⓒ 피앤피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이선용

교육전문미디어, 교육뉴스, 공무원시험, 로스쿨, 자격시험, 대학입시, 유아·초중등교육, 취업

뉴스댓글 >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