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떻게 된 공무원인데... 공무원 100명 중 7명은 3년내 퇴직

이선용 / 2017-10-11 09:59:00

공무원수험신문 227-2.jpg
 
최근 5년간 퇴직 급여 청구인 중 6.86%3년 미만1년 미만도 3,376명이나 돼

 

수십 또는 수백 명의 경쟁 상대를 물리치고 공직입성에 성공한 공무원들 중 약 7%3년을 채우지 못하고 그만두는 것으로 조사됐다.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소속 이재정 의원(더불어민주당)이 최근 공무원연금공단으로부터 제출받은 퇴직급여 청구인원 현황을 분석한 결과, 최근 5년간 퇴직한 공무원 100명 중 7명가량이 재직기간 3년을 채우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12년부터 2016년까지 임기제 공무원을 제외한 공무원연금 퇴직급여 청구 인원은 총 169,426명으로 확인됐다. 이 같은 인원은 국가직 공무원과 지방직 공무원 등을 모두 포함하는 수치다.

 

이 중 재직기간이 3년 미만인 인원은 총 11,623명으로, 전체 청구인원 169,426명의 6.86%에 달했다. 이는 퇴직 공무원 100명 중 7명꼴로 임용 3년 내 퇴직해 퇴직급여를 청구한 것이다. 더욱이 이들 가운데 3,376명은 재직기간이 채 1년도 되지 않았다. 또 재직기간 1년 이상 2년 미만인 인원은 5,381, 2년 이상 3년 미만인 인원은 2,866명이었다.

 

연도별로는 20122,85620132,23820142,33720151,89820162,294명의 공무원이 임용 후 3년 내에 공직생활을 그만두고 퇴직급여를 청구하였다.

 

같은 기간 국가직 및 지방직 신규임용 공무원 총원은 201239,401, 201338,931, 201446,659, 201543,694, 201643,986명으로, 전체 신규임용 공무원 인원 대비 재직 3년 미만 퇴직자 비율이 매년 5~7% 가량에 달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다만 위의 수치는 공무원연금공단으로부터 제출 받은 자료를 통해 추정한 것으로서, 청구인원 중에는 장·차관, 국립대학 조교, 사법연수원생 등이 포함돼 공개채용 등으로 임용된 공무원의 조기 퇴직 비율은 더 낮을 것으로 추정된다는 것이 공단 측의 설명이다.

 

이와 관련, 국가공무원 관련 통계를 유지·관리하는 인사혁신처는 재직기간별 퇴직 공무원 현황을 정확히 파악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재정 의원은 치열한 경쟁률을 뚫고 공무원으로 임용되었음에도 재직기간을 채 3년도 채우지 못하고 공직생활을 그만두는 인원이 매년 꾸준히 발생하는 것은 안타까운 일이라며 인사혁신처와 행정안전부 등 인사당국은 향후 조기 퇴직의 규모와 원인을 정밀히 분석해 공직문화 개선에 반영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 피앤피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이선용

교육전문미디어, 교육뉴스, 공무원시험, 로스쿨, 자격시험, 대학입시, 유아·초중등교육, 취업

뉴스댓글 >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