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책임지고 있는 소방공무원이 수많은 위험에 노출돼 순직하거나 부상을 당하는 일이 늘어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소속 김영진 의원(더불어민주당, 수원병)이 소방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최근 5년간 소방공무원 순직 및 공상 현황’ 자료에 따르면 순직 및 공상자가 총 1,746명(순직21, 공상1,725)에 이르는 것으로 집계됐다.
더욱이 문제가 되고 있는 것은 지난 2012년 292명에 불과하던 인원이 작년에는 450명으로 그 수가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다는 점이다.
소방청이 발표한 연도별 순직 및 공상자는 2012년 292명(순직7, 공상285), 2013년 294명(순직3, 공상291), 2014년 332명(순직7, 공상325), 2015년 378명(순직2, 공상376), 2016년 450명(순직2, 공상448) 등 연평균 350여 명에 달했으며, 5년간 54.1% 가량 증가했다.
최근 5년간 근무유형별 순직자는 구조활동이 11명(52.3%)으로 가장 많았고, 화재진압이 8명(38%)으로 그 뒤를 이었다. 공상자는 구급활동이 419명(24.2%)으로 가장 많았고, 화재진압 350명(20.2%), 교육훈련 181명(10.4%), 구조 174명(10%), 기타 601명(34.8%)이었다.
그러나 화재 등 구조‧구급활동보다 소방공무원을 더 다치게 하는 것은 환자 및 그 보호자의 폭행이었다. 소방공무원 폭력 피해는 2013년 149건에서 2016년 200건으로 4년새 34.2%나 증가했다.
이에 대해 김영진 의원은 “열악한 환경 속에서 국민의 생명을 구하기 위해 소방공무원들은 본인 스스로를 희생하며 고군분투하고 있다”며 “이러한 소방공무원의 처우를 개선하기 위한 사회적 합의가 마련되어 제도 개선의 움직임이 일고 있는 것은 고무적”이라고 말했다.
이어 “그러나 소방공무원에 대한 폭력 증가 추세를 볼 때, 제도 개선에 상응하는 인식 개선 또한 필수적”이라며 “소방공무원의 활동에 대한 법적‧제도적 뒷받침뿐만 아니라 그에 따른 시민 의식 제고 방안 또한 함께 마련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정부는 올해 하반기 소방공무원 1천637명을 추가로 선발해 부족한 인력을 보충할 예정이다. 또 현재 국회에는 소방공무원의 처우 개선의 일환으로 국가직 전환 법안이 발의된 상황이다.
각 시·도별 하반기 소방공무원 선발예정인원은 ▲부산 71명(공채 34명, 경채 37명) ▲인천 61명(경채) ▲광주 44명(공채 8명, 경채 36명) ▲대전 34명(공채 12명, 경채 22명) ▲울산 26명(경채) ▲세종 35명(공채 5명, 경채 30명) ▲경기도 403명(공채 189명, 경채 214명) ▲강원도 179명(공채 106명, 경채 73명) ▲충청북도 77명(공채 20명, 경채 57명) ▲충청남도 94명(경채) ▲전라북도 46명(경채) ▲전라남도 132명(공채 35명, 경채 97명) ▲경상북도 95명(공채 41명, 경채 54명) ▲경상남도 188명(공채 83명, 경채 105명) ▲대구 51명(공채 18명, 경채 33명) ▲서울 30명(경채) ▲제주 71명(공채 20명, 경채 51명)이며, 필기시험은 10월 28일 실시될 예정이다.
[ⓒ 피앤피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