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황남기 강사 “사법시험이나 변호사시험에서 자주 출제되는 박스형 문제 많아”
올해 국가직 7급의 경우 영어 과목이 토익 등 검정능력시험으로 대체됨에 따라 6과목 체제 하에서 시험이 치러진다. 따라서 시험시간이 종전 140분(7과목)에서 120분(6과목)으로 20분 단축된다. 영어 과목을 제외한 총 6과목의 성적을 합산하여 필기시험 합격자를 결정해야 하는 금년도의 경우 수험가는 합격선이 상승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즉 그동안 수험생들이 가장 꺼려하는 영어가 자격요건으로 변경됐기 때문에 합격선이 높아질 것이라는 게 수험가의 대체적인 반응이다. 국가직 7급 합격선은 일반행정직을 기준으로 했을 때 지난 5년간 평균 83.07점으로 집계됐다. 연도별로는 2012년 83.35점, 2013년 81.42점, 2014년 85.28점, 2015년 81.21점, 2016년 84.07점을 각각 기록했다.
하지만 올해는 지난 5년보다는 합격선이 상승할 것으로 전망되는 만큼 수험생들은 보다 철저한 준비를 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이에 본지에서는 지난해 치러진 국가직 7급 공채 시험의 과목별 출제 경향을 전문가의 조언(총평)을 통해 분석하는 자리를 마련하였다. 이번 호는 그 다섯 번째 시간으로 헌법에 대해 알아봤다.
지난해 국가직 7급 헌법 과목은 전체적으로 난이도가 높았다는 게 전문가의 분석이다. 황남기 강사는 “작년 국가직 7급 헌법은 최신판례의 비중이 갈수록 높아지는 경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며 “앞으로도 수험생들은 시험 직전 최신판례의 정리에 더욱 집중해야 할 것 같다”고 밝혔다.
특히 황남기 강사는 “헌정사도 나오기는 했으나 정답을 고르는 데 큰 무리는 없었으며, 헌법의 고전적 이론 등은 출제되지 않았다”면서 “주목할 점은 박스형 문제의 출제인데, 사법시험과 변호사시험 등에 자주 출제되는 유형이다”고 설명했다. 또한 “박스형 문제는 지난해 서울시 7급 문제 등에서도 등장하였기 때문에 이에 대한 대비 또한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마지막으로 황남기 강사는 “결론적으로 헌법의 난이도는 최신판례의 비중 증가, 다양한 유형의 문제 등으로 갈수록 높아질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수험생들은 헌법 시험 준비에 더 많은 노력과 정리가 필요할 것”이라고 조언했다.
한편, 지난해 국가직 7급 세무직 수석 오상훈 씨 역시 헌법은 최신 판례가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하였다. 오상훈 씨는 본지와의 인터뷰에서 가장 취약한 과목으로 헌법을 꼽기도 했다. 오 씨는 “헌법은 공부할 양이 너무 많았고 기출문제집을 사서 한 번 본 후에 제대로 보지 못한 것 같다”며 “오히려 기출문제집 보다는 기본서와 최신 판례 위주로 공부했다”고 경험담을 털어놨다.
이어 “최신판례는 특강과 압축회독 강의를 들었는데, 개인적으로는 압축회독을 들으면서 실력이 급성장 한 것 같았다”며 “가장 중요한 것은 기본서 회독을 늘리는 것이라 생각해 기본서를 중점적으로 봤다”고 덧붙였다.
[ⓒ 피앤피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