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대혁 강사, 어휘·한자에 강한 수험생에 유리...기출문제 분석은 필수
올해 국가직 7급의 경우 영어 과목이 토익 등 검정능력시험으로 대체됨에 따라 6과목 체제 하에서 시험이 치러진다. 따라서 시험시간이 종전 140분(7과목)에서 120분(6과목)으로 20분 단축된다. 영어 과목을 제외한 총 6과목의 성적을 합산하여 필기시험 합격자를 결정해야 하는 올해의 경우 수험가는 합격선이 상승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즉 그동안 수험생들이 가장 꺼려하는 영어가 자격요건으로 변경됐기 때문에 합격선이 높아질 것이라는 게 수험가의 대체적인 반응이다.
국가직 7급 합격선은 일반행정직을 기준으로 했을 때 지난 5년간 평균 83.07점으로 집계됐다. 연도별로는 2012년 83.35점, 2013년 81.42점, 2014년 85.28점, 2015년 81.21점, 2016년 84.07점을 각각 기록했다.
하지만 올해는 지난 5년보다는 합격선이 상승할 것으로 전망되는 만큼 수험생들은 보다 철저한 준비를 해야할 것으로 보인다. 이에 본지에서는 지난해 치러진 국가직 7급 공채 시험의 과목별 출제 경향을 전문가의 조언(총평)을 통해 분석하는 자리를 마련하였다. 이번 호는 그 첫 번째 시간으로 국어 과목에 대해 알아봤다.
지난해의 경우 어휘나 한자에 강한 수험생들이 좋은 점수를 획득했을 것으로 분석됐다. 반면 평소 어휘나 한자에 약한 모습을 보인 수험생들은 고전했을 것이라는 게 전문가의 평가다.
오대혁 강사는 “지난해 시험은 크게 3가지의 특징으로 분류할 수 있는 데 첫 번째는 국문법 문제들이 줄었고, 둘째는 한자 어휘들이나 한자 비중이 매우 높았다”며 “마지막 세 번째는 문학이나 어문규정 모두 기출 문제의 틀에서 벗어나지 않았다는 점이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국문법의 경우 품사나 형태소, 파생어, 합성어 등을 찾는 문제들이 아예 출제되지 않았다”며 “국어사 문제도 기존에 출제된 주격 조사 문제를 다루고 있어 기존의 출제 유형과 많이 달랐다”고 전했다. 또 “작년에는 한자 어휘까지 포함시킨다면 족히 5문제가 출제되었다고 볼 수 있다”며 “문학이나 어문규정은 기출문제를 재편집한 느낌의 문제들이 많았다”고 말했다.
이에 오대혁 강사는 “기출 문제들의 지문들이 다시 등장하고 평이한 어문규정 문제들이 다시금 출제되고 있는 현 출제경향을 볼 때 올해 시험을 준비하는 수험생들은 기출문제를 정확히 살펴봐야 할 것”이라고 조언했다. 이같이 지난해 국가직 7급 국어의 경우 어휘 및 한자로 인하여 수험생들간 난이도 편차가 있었다는 것이 중론이다.
한편, 지난해 영역별 출제 분포를 보면 ▲국문법 5문항(언어의 기능, 어휘, 한자어의 의미, 문맥에 맞는 어휘, 국어사) ▲어문규정 4문항(표준발음법, 한글맞춤법, 어법, 언어예절) ▲속담과 한자 4문항(적절한 한자, 한시 번역, 한자성어) ▲비문학 4문항(퇴고, 단락의 순서, 내용파악 독해, 내용의 추리 독해) ▲문학 3문항(고전시가, 현대소설, 현대시 감상)이 출제됐다.
[ⓒ 피앤피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