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도 지방직 9급 과목별 총평] 행정학 - 이명훈

/ 2017-06-20 14:00:00

이명훈 행정학.JPG
 
2017년 지방직 9급 행정학은 다소 평이하게 출제되었다. 형식적 측면에서는 옳은 지문을 고르는 문제가 1문제 밖에 없었고, 내용적 측면에서는 일반교양상식으로 풀 수 있는 문제가 3문제, 단답형 문제가 넓게 봐서는 6문제나 출제되었기 때문이다. 내용적 측면에서 출제문제를 분석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1] 대통령의 재의 요구권, [8] 정책의 참여자, [20] 정무직 공무원과 직업관료의 비교에 대한 문제는 일반교양상식으로도 충분히 해결가능한 문제였다.

 

둘째, [2] 경제적 규제의 유형, [5] 정부업무평가의 종류, [11] 빅데이터의 특징, [19] 기업특별회계의 적용법률에 대한 문제는 단답형 문제로 쉬운 난이도의 문제였다. 여기에다가 [14] 예산총계주의의 예외, [17] 지방교부세의 유형에 대한 문제도 형식은 다소 긴 지문으로 출제되었으나 종류나 유형을 묻는 문제로 단답형 문제에 가까운 문제라 할 수 있다.

 

셋째, 다소 난이도 높은 문제로는 [4] 공무원의 사기관리, [6] 정책문제의 구조화, [18]조직의 배태성과 제도적 동형화에 대한 문제 등이 출제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문제들도 행정학을 이해 중심으로 학습하고 여러 문제를 접해 본 수험생이라면 큰 어려움 없이 해결이 가능했을 것이라 생각된다.

 

그동안의 수고와 노력이 헛되지 않고 좋은 결과로 귀결되기를 바라면서 앞으로 다가오는 시험(서울시 7,9, 국가직 7, 지방직 7)을 잘 대비할 수 있도록 몇 가지 당부를 드리면 다음과 같다.

 

첫째, 반드시 올해 기출문제를 분석하기를 바란다. 이미 시험을 치른 문제를 다시 펼쳐보는 것이 쉽지 않은 일이겠지만 해당년도의 기출문제가 표현만을 달리하여 그 해에 다시 출제되는 경우가 빈번한 만큼 반드시 해야 할 작업이다.

 

둘째, 어느 정도 행정학 내용이 정리된 수험생이라면 행정학 총론부터 순서대로 학습하기 보다는 많이 틀리거나 어려워하는 부분부터 학습하는 지혜를 보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셋째, 새로운 것을 찾아서 학습하기 보다는 지금까지 학습해왔던 내용들에 대한 반복학습을 통해 실수를 줄이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 피앤피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교육전문미디어, 교육뉴스, 공무원시험, 로스쿨, 자격시험, 대학입시, 유아·초중등교육, 취업

뉴스댓글 >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