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6년도 지방직 7급 채용일정도 막바지에 다다랐다. 각 지자체별 면접시험을 모두 끝내고 최종합격자 발표만을 앞두고 있는 가운데 인천, 대전 등 8곳은 이미 합격자 발표를 완료한 상태다. 지자체별 합격인원을 살펴보면(일반행정직 일반모집 기준) ▲인천 2명 ▲대전 6명 ▲충남 15명 ▲대구 12명 ▲경남 13명 ▲울산 5명 ▲제주 10명 ▲세종 5명이다. 이 중 울산과 제주의 경우 면접 응시자 전원이 최종합격한 것으로 확인됐다.
한편, 지난 10월 1일 시행된 필기시험은 전반적으로 평이했다는 의견이 지배적인 가운데, 과목별로 변별력이 높은 2~3문제가 합격의 당락을 결정지을 것으로 예측됐다. 그러나 실제 합격선은 전년대비 상당히 낮아진 모습이다. 국어의 경우 한자 문제가, 한국사는 경덕왕과 박지원의 생소한 사료가, 행정법에서는 지엽적인 판례가 등장하였으며 경제학은 계산문제의 비중이 높아져 기존의 암기식 공부 방법에 익숙한 수험생들에게는 체감난이도가 높았을 것으로 수험 전문가는 분석했다.
경기도의 경우 지난해 91.71점에서 올해 80.75점으로 낮아졌으며 부산시도 지난해 90.00점에서 올해 81.43점으로 합격선이 떨어졌다. 올해 각 지자체별 일반행정직 합격선은 경기 평균 80.75점, 인천 82.42점, 대전 85.29점, 강원 81.93점, 충북 평균 80.67점, 충남 평균 79.94점, 전북 평균 83.92점, 전남 79.57점, 광주 83.14점, 대구 83.85점, 경북 평균 79.26점, 경남 평균 81.48점, 부산 81.43점, 울산 82.43점, 제주 84.14점, 세종 80.28점으로 집계됐다.
필기합격자는 모두 238명으로 각 지자체별 합격인원 및 합격률을 살펴보면 △경기 48명, 1.1% △인천 4명, 1.2% △대전 7명, 0.8% △강원 11명, 1.4% △충북 14명, 응시자 비공개 △충남 18명, 3.0% △전북 6명, 0.9% △전남 32명, 2.9% △광주 7명, 1.0% △대구 16명, 1.0% △경북 16명, 2.1% △경남 14명, 1.3% △부산 24명, 1.3% △울산 5명, 1.0% △제주 10명, 2.7% △세종 6명, 3.2%를 기록하였다.
[ⓒ 피앤피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