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직 민간경력자 채용 꿈틀, 공채 파이 줄어드나

이선용 / 2016-09-20 14:07:00

공무원수험신174-1.jpg
 
서울시·경기도 민간경력자 채용 증원, 인사처 지난해부터 7급까지 확대·시행

 

 

정부 및 각 지방자치단체가 공직자의 전문성 강화를 내세우며 민간경력자 채용에 눈을 돌리고 있다. 지난해 처음으로 818명을 민간경력자로 채용했던 경기도는 올해 그 인원을 67명으로 늘렸으며, 내년에는 150명까지 확대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이에 앞서 서울시는 지난 2012년 지방자치단체 최초로 7·9급 공무원에 민간경력자를 선발키로 하고, 매년 그 수를 증원하고 있다. 서울시는 다양한 분야에서 민간의 경력자들을 공직에 유치하고 있으며, 특히 올해는 사회복지 공무원 164명을 공채와 별도로 선발하였다.

 

국가공무원 채용을 주관하는 인사혁신처는 민간경력자를 공직에 가장 먼저 유치하였다. 지난 20115급 공채의 정형화된 채용 틀을 깨고, 우수한 인재를 영입하기 위해 민간경력자 일괄채용을 처음으로 도입하였다. 하지만 당시에는 민간경력자 일괄채용의 후폭풍은 미비했다.

 

그러나 지난 2014년 세월로 침몰 사건이 발생하면서 관피아를 척결한다는 명목 하에 정부는 5급 공채 선발인원을 축소하기로 결정했고, 5급 공채와 민간경력자를 5:5로 선발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이후 5급 공채의 선발인원은 서서히 감소하기 시작했다. 더욱이 인사혁신처는 5급에 한정하여 선발했던 민간경력자를 7급까지 확대 시행하기에 이르렀다.

 

7급 민간경력자 채용은 첫해인 지난해 84명을 선발했고, 올해는 이보다 21명 증원된 105명을 채용한다. 물론 민간경력자 채용으로 국가직 7급 공채 선발인원이 감소하지는 않았지만, 7급 공채 시험에 토익이 도입되는 등 시험제도가 변경되는 만큼 5급 공채의 전철을 밟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는 없다.

 

이처럼 최근 정부 및 각 지방자치단체들이 다양한 현장경험과 전문성을 갖춘 민간경력자들을 유치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는 가운데, 수험생들은 혹여 이런 공직사회 문호개방이 공채 규모에 악영향을 미칠까 불안한 심정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 피앤피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이선용

교육전문미디어, 교육뉴스, 공무원시험, 로스쿨, 자격시험, 대학입시, 유아·초중등교육, 취업

뉴스댓글 >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