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시 지방공무원시험 제도를 개편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개편 이유는 서울시 거주자 수험생들의 역차별 때문이다.
서울시의회 행정자치위원회 김용석 의원(도봉1, 더민주)은 지난 5일 인재개발원 업무 보고에서 “서울시는 전국의 우수한 인재를 유치한다는 명목아래 타 시·도와 달리 시험 응시자의 거주지를 제한하지 않고 있어 그로 인해 유발되는 문제점이 심각하다”며 “거주지 제한을 두고 있는 타 시·도와 달리 서울시의 경우에만 유일하게 전국의 수험생들이 서울시 공무원 시험에 응시할 수 있도록 하고 있어 서울시 청년들이 오히려 역차별을 받고 있는 격”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또 김 의원은 최근 3년간 서울시 7~9급 공무원 시험 합격자의 거주지별 현황을 제시하며, 서울시 거주자의 경우 전체 1/3에도 미치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김 의원은 “최근 3년간 경기도 거주자는 2015년 39.3%(853명), 2014년 43.5%(898명)인 것과 비교하여 정작 서울시 거주자는 2015년 28.6%(650명), 2014년 28.3%(584명)에 불과하다”고 설명하며, 서울시 거주자의 서울시 공무원 시험 합격 쿼터제 도입을 강력하게 주문하였다.
더욱이 김 의원은 “서울시 지방직이 타 시·도와 별도로 치러짐에 따라 전국적으로 중복합격자가 발생하여 해당 지방자치단체의 임용 포기 등으로 이어지고 있다”며 “이는 전국적인 행정 낭비로 이어지고 있다”고 주장하며 서울시 공무원 시험 일정을 타 시·도와 동일하게 조율하는 방안도 제시했다.
이 같은 소식이 전해지자 16개 시·도 수험생들은 불편한 심기를 드러냈다. 경기도 성남시에 거주하는 김미옥 씨(27세, 가명)는 “실제로는 서울시에 거주하면서 주소지만 경기도 또는 인천 등에 두고 있는 수험생들이 많다”며 “이런 상황에서 인위적으로 서울시 거주자의 쿼터제를 도입하는 것은 또 다른 특혜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다.
부산에 주소지를 두고, 노량진에서 공부하고 있는 H씨는 “서울시는 대한민국 수도라는 상징성이 있는 도시이며, 각 지방의 수험생들에게 서울시 지방직은 소중한 기회의 장이다”며 “서울시 시험을 타 지방직과 동일한 날에 치르는 것은 전국의 공시생들에게 한 번의 기회를 박탈하는 것 그 이상이다”고 반대 입장을 밝혔다.
[ⓒ 피앤피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