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가 복지·의료 사각지대를 해소하고, 사회안전망을 확충하기 위해 인력을 충원한다고 밝혔다.
보건복지부 최영현 기획조정실장은 지난 5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여성가족부, 농림축산식품부, 해양수산부 관계자와 공동으로 ‘2017년 민생안전 지원을 위한 주요사업’에 대하여 관계부처와 합동발표하면서 “민생안정을 위한 중점 사업들이 착실히 실행되어 우리사회가 당면한 저출산 위기를 해소하고, 생애주기 맞춤형 복지가 완성되어 국민들이 보다 더 행복한 사회가 구현될 수 있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특히 이번 민생안전 지원 사업이 공무원 수험생들에게 가장 눈길이 가는 것은 사회복지공무원 확충이다. 정부는 “복지사각지대 해소를 위해 읍·면·동 복지허브화 지역을 대폭 확대하고, 사례관리 지원액도 인상하여 현장밀착형 복지서비스를 제공할 방침”이라며 “더욱이 내년에는 사회복지 공무원을 신규 확충(960명)하고, 행정직 재배치 등을 통해 1,623명의 사회복지공무원을 확충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이밖에 2017년도 민생안정 예산은 ▲저출산 극복을 위한 다양한 지원 ▲생애주기·수혜대상에 따른 맞춤형 복지 지원 강화 ▲복지·의료 사각지대 해소 중점 등으로 편성되었다.
정부는 2016년에도 복지공무원을 증원하였다. 지난 2015년 사회복지 9급 선발인원은 1,669명에 불과했지만 올해는 이보다 973명이 늘어난 2,642명을 채용하였다.
이에 대해 행정자치부는 “국민들의 보다 충실한 복지서비스를 위해 올해는 전년대비 50% 넘게 복지공무원을 증원했다”며 “선발된 인원은 ‘읍·면·동 복지허브화’를 위해 주민 접점지역인 읍·면·동에 중점 배치된다”고 설명했다. 또한 “배치된 인력은 적극적인 방문상담을 통해 복지사각지대를 해소하고, 사례관리와 민관협력을 강화하여 일선 현장의 복지 체감도를 향상시켜 나갈 예정이다”고 전했다.
한편, 최종 2,642명을 선발할 예정이었던 올해 사회복지 9급 시험에는 29,285명이 지원하여 평균 11.1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 피앤피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