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무원 시험 문제 출제 ‘허점’, 2016년에도 여전했다

이선용 / 2016-07-26 13:42:00
공무원수험신166-2.jpg
 
대부분의 시험에서 문제 출제 오류, 법원직 91문항·국가직 1문항서울시 3문항
 
공무원 시험의 문제 출제 허점은 2016년에도 여전한 것으로 확인됐다. 공무원수험신문이 올해 실시된 공무원 시험의 최종정답 변경 현황을 분석한 결과 거의 대부분의 시험에서 문제 출제 오류가 나타났다.
 
먼저 지난 35일 실시된 법원직 9급의 경우 형법(1책형 9) 1문항의 정답이 모두정답으로 변경됐다. 319일 시행된 사회복지직 9급 역시 국어(A책형 14, C책형 4) 과목에서 1문항이 정답없음으로 밝혀졌다. 이어 49일 치러진 국가직 9급 또한 1문항에 문제에 오류가 있었다.
 
인사혁신처는 수학 책형 18(책형 8)을 기존 정답 번에서 정답없음으로 정정했다. 특히 국가직 9급은 지난 2013년부터 올해까지 4년 연속 정답가안이 변경되는 불명예(?)를 안게 됐다.
 
문제 출제 오류는 521일 실시된 국회직 8급도 자유롭지 못했다. 국회사무처는 수험생들이 이의를 제기한 문제에 대해 정답심사위원회 심의를 열고 경제학 1문항(가형 23, 다형 11)에 대한 정답을 기존 번에서 번으로 변경하였다고 밝혔다.
 
공무원 시험의 정답 변경은 6월에 실시된 지방직 9급과 서울시에서도 예외가 아니었다. 지난 618일 치러진 지방직 9급에서는 68문항에 대한 이의제기가 접수됐으며, 이중 건축구조 A책형 7(C책형 17)의 정답이 기존 번에서 정답없음으로 바뀌었다.
 
625일 진행된 서울시의 경우 91문항과 72문항의 정답이 변경됐다. 서울시인재개발원은 지난 222016625일 시험시행 후 94개 과목의 문제와 정답가안을 공개하였고, 628일까지 수험생 여러분들로부터 이의제기를 받은 결과, 36과목 68문항에 대한 이의제기를 접수하였다심의결과, 위원 전원 합의로 3개 과목 3개 문항에 대해서는 수험생의 이의제기를 수용하여 정답가안을 변경하였다고 설명했다.
 
이번에 정답이 변경된 과목은 기계일반(9) A12(B17) : ② → 모두정답(정답없음) 반응공학(7) A16(B11) : ③ → 모두정답(정답없음) 안전관리론(7) A20(B14) : ③ → 모두정답(정답없음)이다.
 
한편, 공무원시험 출제 오류는 시험의 공신력을 저해함은 물론 수험생의 운명을 뒤바꾸어 놓을 수 있기 때문에 각 시험 주관처들은 문제 출제 오류와 선제·검토 과정에서 만전을 기해 문제 출제 오류가 재발되지 않도록 해야겠다.
 

[ⓒ 피앤피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이선용

교육전문미디어, 교육뉴스, 공무원시험, 로스쿨, 자격시험, 대학입시, 유아·초중등교육, 취업

뉴스댓글 >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