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무원은 행정직? 기술직도 있다! ⑥ 8급 보건진료직에 관한 모든 것

/ 2016-02-16 14:34:00

160216_143_16.jpg
 
보건위생 검열 등 보건 행정 업무 담당

간호사 또는 조산사 면허자만 응시 가능

임상 경력 100% 인정해주는 특장점

 

기술직 공무원으로 분류되는 8급 보건진료직 공무원은 보건복지부의 각 기관들과 보건소 및 병원 등 보건행정 업무와 보건 위생 검열 등의 업무를 담당하는 공무원이다.

 

담당업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보건사업 대상자의 질병예방, 건강증진, 지역사회개발, 포괄적인 일차 보건의료사업을 제공하는 것을 기본적 원칙으로 삼고, 보건의료 취약지역에서 의료행위 및 관련 업무를 수행한다. 이 밖에도 각 시, 군 보건의료 취약지역의 보건진료소에서 보건진료원으로 지역사회의 건강증진을 책임진다.

 

보건진료직 공무원은 간호사 또는 조산사 면허를 소지한 사람만 응시 가능하다. 60세의 정년 보장과 정시 출퇴근, 다양한 복지혜택 이외에도 임상 경력을 100% 인정해준다는 특장점이 있어, 관련 면허증을 보유한 수험생들의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예를 들어 국, 공립 병원, 일반 병원(대학병원 포함), 준종합병원 등에서 5년간 근무한 경험이 있는 합격자라면, 5호봉으로 인정된다.

 

8급 보건진료직 공무원 시험은 공채와 특채로 나누어진다. 공채 시험 응시과목은 국어, 영어, 한국사, 공중보건, 지역사회간호학 등 다섯 과목이며, 특채 시험 응시과목은 생물, 공중보건, 지역사회간호학 등 세 과목으로 시험을 평가하게 된다.

 

시험 합격선은 관련 면허증 보유자 만이 응시가 가능한 시험이기 때문에 지역에 따라 차이를 보이나 타 직렬에 비해 낮은 편이다. 2015년 지역별 합격선을 살펴보면, 경기도 화성시는 66점의 합격선을 기록했고, 강원도 홍천군의 경우 59점의 합격선을 기록하기도 했다.

 

* 자료제공: 에듀윌(www.eduwill.net)

[ⓒ 피앤피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교육전문미디어, 교육뉴스, 공무원시험, 로스쿨, 자격시험, 대학입시, 유아·초중등교육, 취업

뉴스댓글 >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