늦깎이 수험생의 고민 “암기가 잘 되지 않아요”

/ 2014-06-17 14:45:24
140617_59_14 대한민국은 공무원시험을 준비하는 이들로 붐비고 있다. 통계청에 따르면 올해 국가공무원 9급 공채 시험 원서접수가 진행된 2월의 경우 실업률이 크게 증가하였다고 전하였다. 즉, 공무원시험 준비열풍이 대한민국의 고용동향까지 들썩이게 만들고 있는 것이다. 또 본지가 지난해 공무원시험 원서접수 인원을 조사한 결과 대한민국 국민 100명 중 1명은 공무원시험에 도전장을 제출하였다. 그야말로 공무원시험 열풍이 대한민국을 강타하고 있는 것이다. 이 같은 공무원시험 열풍은 앞으로 지속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으며, 공직 문을 두드리는 수험생들 또한 꾸준히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에 본지에서는 이제 막 공무원시험 준비에 뛰어든 수험생들을 위해 가이드라인을 제시해주고자 한다. 이번호는 그 아홉 번째 시간으로 수험생들에게 도움이 되는 암기방법에 알아보았다.   Q. 30대 중반의 수험생입니다. 이제 수험생활을 시작하려하는데 나이가 너무 많아 늦지 않았나 하는 걱정이 듭니다. 또 이 전 같지 않게 암기력이 떨어져 고민입니다. A. 2009년 이후로 공무원시험의 응시상한연령이 폐지됨에 따라 공무원 시험에 도전하는 ‘늦깎이 수험생’이 증가하고 있다. 실제로 9급 공무원의 경우, 2009년 33세 이상 합격자가 전체의 11%를 차지한데 이어, 2010년 15%, 2011년도 19%, 2012년 20%로 눈에 띄게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또 2013년도 국가공무원 9급 시험에서도 19.8%가 33세 이상으로 채워졌고, 40세 이상의 합격자가 99명이나 되었다. 즉 응시연령상한제한이 폐지된 이후 제2, 3의 직업을 찾기 위한 중년층들의 도전이 계속되고 있는 것이다. 또 지난해부터 도입된 고교이수과목 도입과 올해부터 채용이 이루어지고 있는 시간선택제 공무원 선발로 인하여 30대 이상의 수험생의 증가는 앞으로도 계속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하지만 30세 이상 수험생들에게는 한 가지 치명적인 약점이 있다. 바로 예전 같지 않은 암기력이다. 한 30대 중반 수험생은 “예전에는 암기를 잘 한다는 소리를 가끔 듣기도 했는데, 이제는 공부를 한 후 뒤돌아서면 기억이 가물가물하다”고 전하기도 했다. 이런 수험생들에게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바로 반복학습이다. 남들보다 더디지만 잘만 실천한다면 통계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얼마든지 공직에 입문할 수 있다. 또 공부를 한 후 복습시점은 빠르면 빠를수록 유리하다. 강의를 들은 후 바로 복습을 통해 한 번 더 익힌다면 기억이 더욱 오래 남게 된다.   또한 긴 시간 오래 붙잡고 있는 것보다는 짧은 시간 틈틈이 자주 보는 것이 암기에 더욱 도움이 된다. 이동시간 등 자투리시간을 활용하여 암기에 대한 노력을 게을리 해서는 안 된다. 취침 전 20분 정도 그날 공부 중 가장 외워지지 않았던 부분만 정리하여 다시 확인하는 것도 좋다. 자기 전 20~30분은 평소보다 집중도가 높아지기 때문에 평소 기억력보다 훨씬 좋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암기는 장소를 가려서는 안 된다. 책상 앞에 앉아 정리해놓은 단어, 용어 들을 쭉 외우려 하면 오히려 부담감, 암기에 대한 압박감이 더해져 쉽게 외워지지 않을뿐더러 외워도 금방 잊게 될 가능성이 크다. 화장실, 대중교통, 카페 등 다양한 장소에서의 암기를 시도하는 것이 좋다. 특히 입으로 소리를 내고 손으로 단어를 쓰면서 외우는 행동은 시각과 청각, 촉각이 모두 동원되어 단순히 눈으로 보고 외우는 것보다 3배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고 한다. 이 같은 방법은 독서실에서는 금물. 자유롭게 떠들 수 있는 곳에서 적합하다.  

[ⓒ 피앤피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교육전문미디어, 교육뉴스, 공무원시험, 로스쿨, 자격시험, 대학입시, 유아·초중등교육, 취업

뉴스댓글 >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