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보통합 추진...3월부터 모델학교 30곳, 시범지역 3개 운영
내달 교권 침해 긴급 직통전화 ‘1395’ 개통
‘학교폭력 사안조사’→학교폭력 전담조사관 담당
디지털교과서 개발 완료→내년 1학기부터 적용
<이주호 부총리 겸 교육부장관은 1월 24일(수), 정부서울청사에서 2024년 교육부 주요정책 추진계획을 발표하고 있다. 사진=교육부>
[피앤피뉴스=마성배 기자] 올해 초등학교 1학년 중 늘봄학교를 희망하는 학생은 누구나 이용할 수 있고, 2학기부터 전국 모든 초등학교로 확대되며, 2026년에는 희망하는 모든 초등학생이 이용할 수 있도록 운영될 계획이다.
0세부터 5세까지 영유아 보육·교육 관리체계를 교육부로 일원화하고, 올해 5세부터 유치원·어린이집 학비·보육료 지원을 확대하다.
교권을 강화하고 학교 폭력을 체계적으로 대응하고 예방하며, 학생들의 마음건강을 최우선적으로 지원할 계획이다.
교육부(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이주호)는 24일 이같은 내용을 담은 ‘2024년 주요정책 추진계획’을 발표했다. 또한 ‘교육개혁으로 사회 난제 해결’이라는 비전으로 올해 중점적으로 추진할 10대 과제를 선정했다고 밝혔다.
‘늘봄학교’를 2024년 1학기에는 2,000개교 이상에서, 2학기에는 모든 초등학교에서 운영한다.
초등학교 1학년의 학교 적응을 위해 놀이 중심의 예·체능, 심리·정서 등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교육부는 교원의 업무부담을 줄이기 위해 올해 1학기부터 전담인력 등을 배치하여 늘봄학교 업무가 기존 교원에게 맡겨지지 않도록 지원하며, 2학기에는 모든 초등학교에 늘봄학교 업무 전담 조직인 ‘늘봄지원실’을 만들어 전담 실무인력을 배치할 예정이다. 2025년까지 ‘교원과 분리된 운영체제’를 완성한다는 계획이다.
0세부터 5세까지 영유아의 세계 최고 수준의 교육·돌봄을 완성하기 위해 유보통합을 계속 추진한다.
영유아 보육·교육 관리체계를 교육부로 일원화하고, 재정투자계획 및 인력·예산 이관 방안 등을 수립해 지방 조직도 시·도교육청으로 통합한다는 계획이다.
학부모 부담을 줄이기 위해 올해 5세부터 유치원·어린이집 학비·보육료를 월 35만원에서 월 40만원으로 늘린다. 또한 3월부터는 모델학교 30곳, 시범지역 3개 운영 등을 통해 유보통합 선도사업을 추진한다.
지난해 통과된 ‘교권보호 5대 입법’을 기반으로 교권 침해 상황으로부터 교원을 보호하고, 교원의 정당한 생활지도와 교육활동을 보장하기 위해 이에 대한 지원을 지속적으로 강화한다.
특히, 2월에는 교권 침해 긴급 직통전화 ‘1395’를 개통하고 학교 현장에 민원 응대 안내서를 보급한다.
학교폭력에 체계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현재 8개 교육청에서 시범 운영하고 있는 ‘학교폭력 제로센터’를 올해 새학기인 3월부터 전체 교육지원청에 설치한다.
올해 3월부터는 ‘학교폭력 사안조사’를 새로 도입되는 학교폭력 전담조사관이 담당하고, 학교전담경찰관(SPO)도 기존 1,022명에서 1,127명으로 증원한다.
학생들의 정신건강을 증진하고 마음건강을 최우선으로 지원한다. 학교급별로 사회정서 프로그램을 개발해 내년에 적용하고, 학교폭력 대응 중심이었던 학생 상담‧치유 프로그램(위(Wee) 프로젝트)도 정신건강까지 확대 지원할 예정이다.
‘디지털 새싹캠프’를 지속 운영하고, 올해 11월 영어, 수학, 정보교과의 디지털교과서 검정 심사와 국어(특수) 과목의 디지털교과서 개발을 완료해 내년 1학기부터 현장에 적용한다.
교사들이 디지털 기술을 활용해 학생들을 잘 가르칠 수 있도록 AI 디지털교과서 적용 교원(15만명)과 학교별 리더교사(11,500명) 등을 대상으로 역량 강화 연수도 추진한다.
이주호 부총리는 “올해를 공교육 신뢰 회복과 사교육 부담 경감의 선순환이 시작되고, 교육개혁이 성공적으로 뿌리내리는 한 해가 될 수 있도록 교육현장과 함께 개혁과제들을 착실히 추진하겠다”라고 밝혔다.
피앤피뉴스 / 마성배 기자 gosiweek@gmail.com
[ⓒ 피앤피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