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앤피뉴스=마성배 기자] 요즘 MZ세대들은 삼성전자, SK텔레콤, 네이버를 국내 대표 AI 기업 Top3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명 S(삼성전자) N(네이버) S(SKT)다.
6일 잡플래닛은 MZ세대 947명을 대상으로 ‘국내 대표 AI 기업’에 대해 설문 조사를 실시한 결과, 삼성전자, SK텔레콤, 네이버순으로 나타났다.
이어 카카오, 현대자동차, 엘지전자, 두산로보틱스, KT, 포스코, 한화시스템을 국내 대표 AI 기업 TOP10으로 조사됐다.
1위 삼성전자는 지난해 11월 자체 개발한 생성형 AI 모델 ‘삼성 가우스’를 공개한 후 12월부터 사내 업무와 비즈니스 영역에서 활용하고 있다. 특히, 텍스트와 이미지 생성, 코드를 생성하는 모델 기능까지 제공하며 업무 효율성을 높이고 있다.
또한, 갤럭시와 결합된 ‘온디바이스 AI’ 기술을 자체 개발해 풍부한 모바일 경험을 제공하고, 사용자의 프라이버시 보호와 보안을 통해 일상생활의 변화를 준다.
2위로 뽑힌 SK텔레콤은 AI 개인 비서 ‘에이닷’과 AI 데이터센터, 초거대언어모델(LLM), AI 반도체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혁신을 이루고 있다. 특히 ‘에이닷’ 가입자 수가 현재 400만명에 달한 것으로 알려졌고, 올해 초에는 창사 40주년을 맞아 글로벌 AI 컴퍼니로의 도약을 선언했다.
지난달에는 영국 시장조사기관 옴디아의 조사에서 세계 주요 통신사 12곳 중 AI 지표 조사에서 최고 점수를 획득하며 1위에 올랐다. 또한 한국 통신사 중 유일하게 대상에 포함된 SKT는 ‘AI 역량 개발 및 서비스 운영에서의 AI 적용’을 묻는 지표에서 일본 NTT 도코모와 함께 가장 높은 점수를 받았다.
3위를 차지한 네이버는 자체 개발한 LLM ‘하이퍼클로바X’를 플랫폼에 이식하고, 생태계 확장을 위한 유료 서비스를 선보일 예정이다. 네이버웹툰이나 서비스 전반에 생성형 AI 관련 기술을 고도화해 반영하고, 뉴로 클라우드나 클로바 스튜디오 등 기업 맞춤형 유료 서비스 제공하는 방식이다. 또한 지난해 공개한 생성형 AI 검색 서비스 '큐:'(CUE:)를 통해 복잡한 질문에 대한 검색 계획 수립과 응답을 제공하는 등 검색 기술의 혁신을 이끌고 있다.
이번 조사 결과는 MZ세대가 AI 기술에 대해 높은 관심을 가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70.7%의 응답자가 AI에 대해 관심이 많다고 답했고, 반면, ‘관심이 없다’고 응답한 비율은 0.4%에 불과했다.
피앤피뉴스 / 마성배 기자 gosiweek@gmail.com
[ⓒ 피앤피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