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가 지원 대상, 초6·중3·고2→초3‧5‧6, 중1‧3, 고1‧2 확대
교과 학업성취수준 및 사회·정서적역량 등 비인지적 특성 진단
<사진=한국교육과정평가원>
[피앤피뉴스=마성배 기자] 교육부와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은 13일 맞춤형 학업성취도 평가를 내년 초에 시행한다고 밝혔다.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를 표집평가로 전환한 이후 기초학력 미달 비율이 거의 3배 이상 크게 증가했고, 초등학교와 중학교에서 학력 수준을 확인할 길이 없는 학부모들은 사교육비만 늘고 있는 실정이다.
교육부는 지난 6월 ‘공교육 경쟁력 제고방안’을 통해 책임교육학년인 초3·중1을 집중 지원하고, 초3·중1 외 학년도 개별학습을 할 수 있도록 맞춤형 학업성취도 평가 지원 대상을 확대한다고 발표했다.
지난해에 도입된 맞춤형 학업성취도 자율평가는 학생들의 학업성취 수준을 파악해 교수‧학습에 활용하기 위한 컴퓨터 기반 평가이다.
올해는 초3, 중1 책임교육학년을 조기에 도입해 총 7개 학년 학생의 학력을 진단할 수 있도록 했으며, 종국적으로는 초3부터 고2까지 전 학년을 평가 대상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교과 학습이 시작되는 초3과 중등 교육이 시작되는 중1은 학력 격차가 벌어지기 쉬운 시기로, 학생 개개인의 부족한 부분에 대해 맞춤 학습을 지원하기 위해서는 정확한 진단이 필요하기 때문에 초3, 중1은 시도교육청과 협의하여 전체 학생이 학력을 진단할 수 있도록 지원할 예정이다.
맞춤형 학업성취도 평가는 내년 2월 20일부터 4월 30일까지 실시하고, 개별 학교는 학급 단위로 희망하는 날짜를 선택하여 내년 1월 9일부터 평가 시행일 2주 전까지 신청할 수 있다.
또한 초3은 읽기, 쓰기, 셈하기를 반영해 ‘문해력’, ‘수리력’ 2개 교과 진단 검사를, 중1의 경우 자유학기제 취지를 고려하여 진로‧적성 진단 검사를 제공한다. 학교·학급마다 평가 시행일이 다를 수 있기 때문에 교과 검사도구는 4종으로 학생별로 제공할 예정이다.
평가는 컴퓨터 기반 평가(CBT) 방식으로 실시되며, 학생은 학교에서 컴퓨터, 노트북, 태블릿 컴퓨터 등을 이용한다. 단, 초3은 발달 수준, 정보 기기 활용 경험 차이 등을 고려해 지필평가 방식으로도 응시 가능하다.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은 평가 시행 경험을 갖춘 현장 교사들의 검토를 거쳐 안내서를 개발하고 관련 연수 및 영상 자료 등을 지원하여 개별학교의 원활한 평가 시행을 도울 계획이다.
평가 결과는 학생, 학교(급)에 제공되며, 학교는 진단 결과를 교수‧학습에 활용 가능하다.
교육부는 “2025년에는 하위 30% 규모까지 책임교육학년의 학습중점 지원대상을 연차적으로 확대·지원할 계획이다”라며, “향후 학업성취 수준 진단 결과를 토대로 정규수업 및 방과후 연계 지도, 기초학력지도강사(튜터링) 지원, 방학 중 학습도약 계절학기 운영 등 체계적인 맞춤 학습을 제공하여 기초학력을 강화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피앤피뉴스 / 마성배 기자 gosiweek@gmail.com
[ⓒ 피앤피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