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딥페이크 범죄 관련 국민인식조사| 제공: <라바웨이브-리얼미터> |
[피앤피뉴스=마성배 기자] 국민 10명 중 9명이 딥페이크 범죄가 우리 사회에 심각한 영향을 미친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절반 가까운 국민이 딥페이크 영상의 진위를 구분하기 어렵다(49.3%)고 응답해, 사회적 혼란 가능성에 대한 우려도 커지고 있다.
이는 디지털 범죄 대응 전문기업 ‘라바웨이브’의 의뢰로 여론조사 전문기관 리얼미터가 ‘딥페이크 범죄 국민인식을 조사했다.
조사는 지난 11월 4~5일, 전국 18세 이상 남녀 1,007명을 대상으로 무선 RDD(100%) 자동응답(ARS) 방식으로 진행됐다. 표본오차는 ±3.1%p(95% 신뢰수준)이다.
조사 결과, ‘매우 심각하다’(65.2%)와 ‘어느 정도 심각하다’(25.0%)를 합한 응답이 90.2%로 집계됐다.
모든 연령대에서 높은 비율을 보였으며, 50대(95.3%)가 가장 높은 심각성 인식을 보였다.
딥페이크 범죄에 대해 81.8%가 ‘들어봤거나 잘 알고 있다’고 답했다.
특히 70세 이상(65.2%)을 제외한 전 연령층에서 인지율이 80% 이상으로 나타났다.
가장 많이 악용되는 대상으로는 연예인(34.6%)이 1위였고, 일반인(26.7%), 정치인(18.7%)이 뒤를 이었다.
딥페이크가 가장 많이 활용되는 분야는 ‘음란물’이 45.7%로 가장 높았으며, 이어 ‘금융’(19.0%), ‘정치’(17.9%), ‘연예·방송’(8.7%) 순으로 조사됐다.
전문가들은 “AI 생성 콘텐츠가 성착취물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다”며 “피해 확산을 막기 위한 모니터링 시스템 강화가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응답자의 49.3%가 ‘딥페이크 영상 진위 구별이 어렵다’(가능 40.6%)고 답했다.
특히 연령대가 높을수록 진위 식별 능력이 낮았으며, 18~29세(44.5%) → 30대(46.0%) → 40대(41.8%) → 50대(36.2%) → 60대(30.9%) → 70대(25%) 순으로 조사됐다.
또한 딥페이크 영상을 본 적 있는 응답자 중 정치인(58.3%) 대상 영상 노출 경험이 연예인(44.7%)보다 많았다는 점도 주목된다.
딥페이크 범죄가 선출직 선거 결과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응답은 85.3%(‘매우 그렇다’ 42.8% + ‘어느 정도 그렇다’ 42.6%)로 나타났다.
특히 ‘딥페이크를 구별하기 어렵다’고 답한 응답자 중 90.9%가 “후보자의 당락에 영향을 줄 것”이라고 응답했다.
라바웨이브와 리얼미터는 “딥페이크 범죄는 단순한 온라인 문제를 넘어 사회 전반의 신뢰를 흔드는 위협”이라며 “2026년 지방선거 전까지 정기적으로 국민 인식조사를 실시해 공정선거와 사회 안전망 강화에 기여하겠다”고 밝혔다.
피앤피뉴스 / 마성배 기자 gosiweek@gmail.com
[ⓒ 피앤피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