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노총, 내년 공무원 임금 37만7천 원 정액 인상 요구 투쟁 나서

이선용

gosiweek@gmail.com | 2023-06-15 09:35:00

<사진 : 공노총 제공>

 

“공무원 노동자 임금, 100인 이상 민간사업장 대비 82% 이하까지 추락”

 

[공무원수험신문=이선용 기자] 2024년도 공무원 임금 37만 7천 원 정액 인상을 위한 투쟁이 벌어졌다.

 

14일 대한민국공무원노동조합총연맹(위원장 석현정, 이하 공노총)은 서울 중구 세종대로 일대에서 전국공무원노동조합(위원장 전호일, 이하 공무원노조)과 공동으로 ‘임금인상 쟁취! 공무원 생존권 보장! 공무원노동조합 총력투쟁 선포대회’를 진행했다고 밝혔다.

 

공노총은 “정부는 코로나19와 고물가 상황 등 각종 핑계를 앞세워 120만 공무원 노동자에게 무조건적‧일방적 희생을 강요하고 있다”라며 “지난해 공무원 임금은 1.7%만 인상됐고, 그 결과 공무원 노동자의 임금은 100인 이상 민간사업장 대비 82% 이하까지 추락해 공무원 노동자의 실질임금이 삭감되는 참담한 결과를 초래했다”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120만 공무원 노동자의 요구사항인 2024년도 공무원 임금 377,000원 정액 인상, 정액 급식비 80,000원 인상, 6급 이하 직급보조비 35,000원 인상, 초과근무수당‧연가보상비 산정 방식 민간수준으로 개정 등을 쟁취하고자 이번 총력투쟁 선포대회를 진행했다”라고 설명했다.

 

 

석현정 위원장은 “대한민국 정부는 공노총과 같이 120만 공무원 노동자의 목소리를 대변하는 노동조합이 있음에도 어떠한 논의와 협의도 없이 일방적으로 공무원 노동자에게 희생을 강요한다”라며 “공노총은 올해를 정부로부터 매번 반복되는 일방적 희생 강요의 고리를 끊고, 코로나19‧고물가라는 명목으로 희생당한 공무원의 임금인상을 쟁취하는 원년의 해로 삼았다”라고 강조했다.

 

이어 “공무원의 사용자인 정부가 사용자답게 정당하게 처우개선을 하라는 것이 우리의 단 하나의 요구”라며 “정부는 ‘공무원노동조합의 과도한 임금인상 요구다’라는 프레임 씌우기에 앞서, 120만 공무원 노동자가 처한 현실을 직시하고, 그들의 절규에 귀를 기울일 때”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또 김형태 시군구연맹 청년위원장은 “윤석열 정부는 출범 이후 줄곧 청년층, MZ세대들을 생각한다며 유화적 메시지를 계속해서 보내면서, 정작 자신과 함께 국민을 위해 불철주야 일하는 청년 공무원들의 어려운 현실에는 눈 감고, 귀 닫고, 모른 체 하고 있다”라며 “윤석열 정부의 이러한 행동으로 인해 청년들이 공직사회에 등을 돌리고, 이는 결과적으로 국민의 행정서비스 저하와 직결되는 문제임에도 정부가 한결같이 ‘나 몰라’ 자세로 일관하는 통에 현장에서 일하는 청년 공무원들의 분노는 이미 한계치를 초과했다”라고 꼬집었다.

 

이철수 국공노 위원장은 “‘모든 공무원 노동자의 임금을 37만 7천 원 정액 인상하라!’ 이는 단순한 외침이 아닌 생존의 절벽에 선 공무원 노동자가 국민의 봉사자로서 온전한 역할을 다할 수 있도록 사용자인 정부가 최소한의 권리를 보장해달라는 간절한 호소이자 피의 절규다”라고 강조하며 “물가 인상률에 턱없이 못 미치는 보수 인상에도 6,360원에 점심을 때우고 노예처럼 일하라 강요받고, 청년 공무원들은 최저임금 수준의 낮은 임금과 과중한 업무 스트레스에 자존감이 무너져 한 해 1만 명이 공직을 떠나고 있다. 여기에 초과근무수당과 연가보상비는 단지 돈이 없다는 이유로 법적 근거도 없는 해괴한 셈법으로 난도질당해 반토막 되었다”라고 말했다.

[ⓒ 피앤피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WEEKLY HO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