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 대학 기초과학 지식 창출 ‘램프(LAMP) 사업 계획’ 발표
이선용
gosiweek@gmail.com | 2023-05-04 14:16:00
[공무원수험신문=이선용 기자] 4일 교육부(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이주호)는 대학이 기초과학 분야의 새로운 지식 창출 중심지로서 거듭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램프 사업 기본계획’을 발표했다.
램프 사업은 기존 과제 중심의 연구 지원에서 벗어나 대학이 연구소를 관리·지원하는 체계를 갖추고, 다양한 학과·전공의 신진 연구인력이 공동연구를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사업이다.
2023년 지원 규모는 8개 대학, 지원예산은 총 160억 원이며, 선정 시 5년(3+2년)간 지원한다.
대학은 기초과학 10개 분야 중 1개 분야를 선택하여 해당 분야의 공동연구를 수행하게 된다.
램프 사업은 대학의 ‘연구소 관리·지원 체계 구축’을 전제한다. 기존 연구개발사업(R&D)은 대부분 개별 과제(project)의 연구비를 지원하는 형식이었다.
그러나 램프 사업은 대학에 학내 연구소에 대한 현황 조사·공개, 평가·지원을 수행할 수 있는 ‘연구소 관리·지원 체계’를 우선적으로 갖추도록 하고, 연구인력 선발, 시설·장비 확충, 연구과제 확정 등을 직접 총괄하도록 하여 대학이 보다 체계적으로 연구를 지원하도록 하였다.
또 대학의 핵심 연구인력임에도 지원이 상대적으로 부족했던 박사후연구원(포닥, post-doc)과 신진교원을 집중적으로 지원한다.
특히 램프 사업은 젊고 유능한 박사후연구원의 유입을 지원함으로써 대학의 연구력을 보강할 뿐 아니라, 다양성과 새로움의 자극을 더해 대학 내 연구 분위기도 긍정적으로 개선할 수 있도록 돕는다.
아울러 ‘다양한 학과·전공 간 공동연구’를 지원하여 전략기술 개발이나 지속가능한 발전에 필수적인 ‘새로운 지식 창출’을 추구한다.
대학은 선택한 기초과학 분야에 맞는 ‘전략적 공동연구 포트폴리오(전체 과제수행계획)’를 자율적으로 구성하여 제출해야 하며, 각 대학의 과제 기간과 규모는 이후 선정평가를 통해 확정된다.
교육부는 램프 사업에 선정된 대학들이 단기적·가시적 성과보다 장기적‧도전적 목표를 설정하고 이를 달성해나갈 수 있도록 지속해서 지원해 나갈 방침이다.
이윤홍 인재정책기획관은 “대학이 새로운 지식의 발견과 탐구라는 역할을 잘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라며 “램프 사업의 시작이 우리나라 대학 기초과학 연구의 저변을 확대하는 중요한 기점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라고 밝혔다.
[ⓒ 피앤피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