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구직자 4명 중 3명 구직지원금 ‘만족’, 생활비에 가장 많이 사용

이선용

gosiweek@gmail.com | 2021-01-08 16:51:00


향후 개선을 바라는 점, ‘가입요건 완화’ vs ‘사용심사 강화’

 

[공무원수험신문, 고시위크=이선용 기자] 청년구직자들은 정부와 지자체가 지원하는 구직지원금에 대해 어떤 평가를 내릴까?

 

최근 인크루트와 알바콜(대표 서미영)이 2030 청년구직자 1,300명을 대상으로 구직지원금 실태에 대해 조사한 결과, 4명 중 3명은 구직지원금에 대해 긍정 평가를 내렸다. 긍정평가가 76.4%, 부정평가가 21.7%였다.

 

다만, 향후 개선을 바라는 점으로는 ‘가입요건 완화’와 ‘사용심사 강화’로 입장이 나뉘었다.

 

먼저 지난 한 해 정부와 각 지자체 등에서 청년구직지원금을 받았다고 답한 비율은 43.1%로 나타났다.

 

이들이 수급한 지원금은 월 50만 원씩 최대 6개월간 지원하는 청년구직활동지원금이 32.4%, 코로나 여파로 취업여건을 긴급 지원하는 목적의 청년특별구직지원금이 18.7% 등으로 조사됐다. 수급 금액은 평균 199만 원(주관식 입력)인 것으로 집계됐다.

 

특히 청년구직자들이 구직활동지원금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이유는 코로나로 일자리, 아르바이트가 없는 와중에 생활비로 활용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31.3%).

 

실제로 지원금 사용처 단일항목 1위는 생활비(25.7%)였다. 지난해부터 이어져 온 코로나 여파로 생활비 조달에 차질이 생겨 구직지원금을 활용한 것으로 보인다.

 

이어 2위는 ‘부모님에게 손 벌리지 않고 취업 준비를 할 수 있어(27.5%)’가, 3위는 ‘평소 관심있던 직무분야 공부를 합리적으로 수강할 수 있어서(17.6)’로 조사됐다.

 

반면 부정적으로 평가 이유로는 ‘실제 구직활동에 쓰이지 않는 경우가 많아서라’는 응답이 9.8%로 가장 높았다. 이외 수급 기준이 까다로워 받기 어려움(7.9%), 구직지원금 규모가 작음(4.0%) 등이었다.

 

한편, 구직자들에게 향후 청년구직지원금의 개선방향에 해대 ‘가입요건 완화’를 가장 많이 꼽았다(22.4%).

 

이는 구직지원금 수급요건을 완화해 지원금을 필요로 하는 청년에게 보다 많은 기회가 돌아가길 바라고 있었다.

 

이어 구직활동 외 사용에 대한 심사기준 강화(17.4%)가 꼽혔다. 지원금 수급대상을 확대하자는 의견과는 별개로, 지원금이 구직활동 취지에 맞게끔 활용되어야 한다는 점을 꼬집은 것이다.

 

앞서 구직지원금 사용처 1위가 생활비였다는 점도 이 주장에 힘을 싣는다. 이외에도 구직지원금에 개선을 바라는 의견으로는 예산 증대(14.4%), 지원액 증대(13.3%), 프로그램 홍보(10.3%) 등이었다.

[ⓒ 피앤피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WEEKLY HO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