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3년간 서울시 고시원 화재 144건…‘부주의’ 67%로 가장 많아

전정민

gosiweek@gmail.com | 2020-01-31 14:30:00

 
최근 3년간 고시원 화재 건수는 144건, 인명피해 25명

시, 간이스프링클러설비 설치지원 사업에 적극 참여 당부

 

[공무원수험신문=전정민 기자] 서울시 소방재난본부가 최근 3년간 숙박형 고시원에 대한 화재통계를 분석 발표했다. 최근 3년간(’17년~’19년) 고시원에서 발생한 화재 건수는 총 144건으로, 25명(사망 8명, 부상 17명)의 인명피해가 발생했다.

 

화재원인별로 부주의 97건(67%)으로 가장 많았고, 전기적 요인 27건(19%), 방화의심6건(4.2%), 기타 14건(9.7%)을 차지했다.

 

부주의에 의한 화재는 가연물 근접방치, 음식물 조리 중 과열, 담뱃불, 화원방치 등이 원인이며 전기적 요인의 경우 문어발식 콘센트 사용으로 인한 과부하·과전류 등의 원인이다. 부주의 화재 예방을 위해서는 음식물 조리 중에는 조리가 완료될 때까지 자리를 뜨지 말아야 한다.

 

전기화재를 예방을 위해서는 문어발식 콘센트 사용을 금하고, 노후된 전기기기는 교체하는 것이 좋다. 고시원 좁은 실내에서는 전열기기를 사용을 금하고, 전기장판을 사용 후에는 콘센트를 뽑아야 한다.

 

발생장소별로는 고시원 방 내부가 14건(9.7%), 주방 14건(9.7%), 공용부분 37건(25.6%), 기타 79건(54%) 등의 순이었다.

 

서울소방재난본부 관계자는 “기타를 제외하면 공용부분에서 화재가 많이 발생하고 있어 불특정 다수인이 함께 이용하는 공용공간에 대한 화재예방을 위한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라고 밝혔다.

 

특히 고시원 화재 시 인명피해는 간이스프링클러가 설치되지 않은 고시원이 간이스프링클러가 설치된 고시원 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시 소방재난본부 관계자는 “2018년 11월 9일 간이스프링클러가 설치되지 않은 종로구 국일고시원 화재 시 18명(사망 7명, 부상 11명)의 인명피해가 발생한 반면, 지난달 19일 성북구의 한 00고시원 화재는 간이스프링클러가 설치되어 있어, 화재를 초기에 소화하여 단 1명의 인명피해도 발생하지 않았다”라고 설명했다.

 

한편, 서울소방재난본부는 고시원 화재로 인한 인명피해를 방지하기 위해 ‘19년 8월부터 간이스프링클러 설치 지원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간이스프링클러를 설치하는 고시원 영업주에게 공사비 중 일부를 지원하여 고시원에 대한 화재안전성을 높이고자 함이다. 현재 숙박형 고시원 560개소가 사업에 참여하여 118개소가 설치 완료했고, 나머지는 설치 준비 중에 있다.

[ⓒ 피앤피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WEEKLY HO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