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 ‘글로컬대학’ 혁신 속도 낸다…원광대-원광보건대와 규제 개혁 논의

마성배 기자

gosiweek@gmail.com | 2025-02-26 11:15:44

‘글로컬대학30 프로젝트’ 가속화…혁신지원 토론회 개최
생명산업 특성화 대학으로 재편…대학 통합·산학협력 강화 방안 모색

▲2024년 지정 글로컬대학 총장 간담회 참석(출처: 원광대학교 홈페이지)

 

[피앤피뉴스=마성배 기자] 교육부는 25일 세종청사에서 ‘2025년 제1차 글로컬대학 혁신지원 토론회’를 개최하고, 원광대-원광보건대와 함께 대학 통합 및 생명산업 특성화 전략을 논의했다.

‘글로컬대학30 프로젝트’는 비수도권 대학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국제적 수준의 교육 역량을 갖춘 대학을 선정해 5년간 1천억 원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2023년 10개 대학(14개교), 2024년 10개 대학(17개교)이 선정돼 현재 총 20개 대학이 운영 중이다. 교육부는 대학들이 실질적인 혁신 성과를 거둘 수 있도록 지난해부터 ‘혁신지원 토론회’를 개최하고 맞춤형 규제 개혁을 논의하고 있다.

이번 토론회에 참여한 원광대-원광보건대는 ‘생명산업 특성화 대학’ 모델을 제시하며, 지역 산업과 연계한 혁신 전략을 발표했다. 두 대학은 2026년 대학 통합을 목표로, 기존의 의생명·농생명·생명서비스 분야 학과를 통합해 ‘생명융합대학’을 신설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생명산업 융합 인재를 양성하고, 관련 기업 유치 및 성장을 적극 지원하겠다는 구상이다.

특히, 원광대-원광보건대는 ‘지산학연병(지자체-산업체-대학-연구소-병원) 협력 클러스터’ 모델을 구축해 지역 산업과 긴밀한 연계를 추진할 방침이다. 이 과정에서 대학 통합 지원, 학사 운영 유연화, 산학협력 활성화를 위한 규제 개혁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교육부는 지난해 발표한 ‘일괄(패키지) 규제 개혁’과 연계해 맞춤형 지원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주요 내용으로는 ▲대학 통합을 위한 관계 법령 개정 ▲외부 인사의 주요 보직 임용 허용 ▲겸·초빙교원의 정년 완화 및 공개채용 절차 간소화 등이 포함됐다.

교육부는 이번 토론회에서 ‘고등교육혁신특화지역’ 제도를 활용해 지역 대학의 규제 부담을 완화하는 방안도 논의했다. 이는 규제특례를 통해 지방대학 혁신을 지원하는 제도로, 원광대-원광보건대의 혁신 모델이 효과적으로 추진될 수 있도록 활용 방안을 모색할 계획이다.

교육부 관계자는 “각 대학의 혁신 과제가 실질적인 성과로 이어질 수 있도록 관계법령 및 행정 지침을 개선하고, 맞춤형 지원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최은희 교육부 인재정책실장은 “이번 토론회는 글로컬대학이 혁신 과정에서 겪는 문제를 교육부와 함께 해결하는 ‘문제해결형 거버넌스’의 대표 사례”라며 “대학별 특성에 맞춘 규제 개혁을 통해 혁신 성과를 조기에 창출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강조했다.

한편, 교육부는 2024년 신규 지정된 글로컬대학 10곳(17개교)을 대상으로 추가 혁신지원 토론회를 개최해 대학별 혁신 모델을 공유하고, 지역 맞춤형 규제 개혁 방안을 지속적으로 논의할 계획이다.

 

피앤피뉴스 / 마성배 기자 gosiweek@gmail.com 

[ⓒ 피앤피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WEEKLY HO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