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경호처 채용/ 시험] 2020 대통령경호처 7급 면접 대비 전략 칼럼2 by 민진규 교수

이선용 / 2020-09-02 16:49:00
image01.jpg
 
민진규.jpg
▲ 민진규 교수
 

◆2020 대통령경호처 7급 면접대비반 : 주중반(9/7 개강)·주말반(9/13 개강)

 

② 인성면접과 심층면접의 질문과 대답

 

최근 때 아닌 청와대 상소문 논쟁으로 온 나라가 시끄럽다. 평범한 30대 직장인의 쓴 ‘시무 7조’와 ‘하교_시무 7조에 답한다’에 이어 급기야 ‘영남만인소’까지 등장했다. 글쓴이들은 그동안 국내 여론을 주도하던 언론인이나 사회지도층이 아니라 평범한 시민들이라 더욱 놀랍다.


혼란한 시대에 사회를 통합해야 하는 정치인과 지식인들은 무능하고 졸렬하다 못해 ‘철의 장막’ 뒤에 꼭꼭 숨어버렸다. 코로나19로 촉발된 사상 초유의 국난은 도(道)를 닦으며 초야에 묻혀 살던 ‘재야의 고수’들을 ‘중원’으로 불러내고 있다.

하지만 봉황의 큰 뜻은 온갖 잡새의 지저귐에 더럽혀졌고, 어리석은 일부 지도자들은 견월망지(見月忘指)로 본질을 흐리고 있어 안타깝다. 고대 그리스의 직접 민주정치 이후 처음으로 민초들이 국가 여론을 주도하기 시작했지만 태풍이 아니라 미풍에 그칠 가능성이 높아 안타깝다.


경호처는 대통령의 신체적 안위뿐만 아니라 정신건강까지 경호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에 작금의 정치 난맥상을 짚어봤다. 수험생이 경호처 면접에서 가장 먼저 경험할 인성면접과 심층면접의 기출 질문과 합리적인 답변 방안을 살펴보자.

 

◈ 애국심과 국가관을 인재상과 연결하는 답변이 필요

1.jpg
▲ 인성면접의 주요 질문
 

경호처에서 진행하는 면접의 첫 번째 관문은 인성면접으로 지원자의 국가관과 애국심을 파악하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된다. 인성면접은 면접관과 수험생이 일대일로 진행되며 개인, 국가, 직무 등 3가지 영역으로 구성돼 있다.


먼저 개인에 관련된 질문은 자기소개, 인생에서 중요하게 생각하는 가치, 보람찬 경험, 인성, 원칙과 융통성 중 중요한 것 등이 해당된다. 자기소개서를 기반으로 한 질문이 주어지며 명확한 정답이 있는 것은 아니므로 소신껏 답변하면 충분하다.


다음으로 국가관을 파악하기 위한 질문은 국가의 의미, 헌법의 가치, 존경하는 인물, 지폐의 도안 인물 추천, 세월호 참사의 문제점 등이 출제됐다. 세월호 침몰사건과 촛불집회, 이후 이어진 탄핵 정국은 국가와 헌법의 가치가 무엇인지 깨닫게 만들었다.


마지막으로 직무에 대한 인식을 묻는 질문은 경호원의 역량, 대통령과 배우자 중 선택, 대통령이 국정운영으로 바빠서 퇴근이 어려울 때 대처 등이다. 경호관의 인재상은 ‘냉철한 판단력과 두뇌 순발력을 갖춘 사람’이다.


결론적으로 인성질문은 수험생이 경호관의 인재상에 적합한 사람인지 평가할 수 있는 질문이 출제된다.  경호처는 ‘忠∙信∙知∙通’을 바탕으로 한 균형감 있는 능력을 요구한다고 밝히고 있다. 따라서 자신의 답변이 조직이 원하는 인재상 및 가치과 어떻게 연관되는지 설득할 수 있어야 한다.


◈ 심층면접을 통해 수험생의 성장 잠재력을 평가해

2.jpg
▲ 심층면접 주요 질문
 

수험생이 두 번째로 통과해야 하는 면접 관문은 심층면접으로 언어 구술력, 논리력, 외모 등을 평가하는 과정이다. 심층면접은 인생관, 국가관, 기초 직무, 직무 상황 등으로 구성돼 있으며 지원자의 면면을 깊이 분석하기 위해 진행된다. 영역별로 출제된 주요 질문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인생관을 파악하기 위한 질문은 무인도에 가져갈 3가지, 봉사 경험, 도박의 장점 3가지, 대기업을 나온 이유, 특정 영화 관람과 역사적 배경 등으로 나타났다. 사기업을 나온 이유에 대해 질문을 던진 것은 힘들어서 그만둔 것은 아닌지 파악하기 위한 목적으로 보인다.


둘째, 국가관을 평가하기 위한 질문은 애국심을 느낀 경험, 사드 배치에 대한 생각, 해군 링스헬기가 추락한 사건에 대한 의견 등이 주종을 이뤘다. 연평해전, 천안함 폭침사건, 연평도 포격사건 등에 대한 관심과 평가를 통해 애국심을 파악하려는 의도라고 볼 수 있다.


셋째, 기초 직무에 관련된 질문은 당신을 뽑아야 하는 이유 3가지, 운동 경험, 팀워크, 누군가를 설득한 경험, 타협에 대한 정의, 리더로서의 경험과 어려움, 특정 상황에 대한 대처 방안 등으로 다양했다. 경호관으로서 필요한 자질과 역량을 갖췄는지 파악하기 위한 질문을 다양한 각도에서 제시하는 편이다.


넷째, 직무 상황은 고 난이도 직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상황 판단능력이 있는지 파악하는 과정이다. 출제된 주요 질문은 상사가 잘못된 직무상 명령을 내릴 경우에 대응, 결혼할 상대가 경호관을 그만두라고 한다면, 경호대상자가 위협을 받고 있을 때 조치방안 등이다. 수험생이 최소한 경호 원칙과 경호 관련 지식을 보유하고 있어야만 답변이 가능한 질문이다.


결과적으로 경호처는 심층면접을 통해서 수험생의 기초적인 자질과 성장 잠재력을 동시에 평가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문재인 정부가 출범하면서 경호관의 키나 안경 착용과 같은 제약 요건은 사라졌지만 국가관 및 애국심을 강조하는 것은 변하지 않았다. 수험생들도 이러한 점을 감안해 합리적인 답변을 준비하는 것이 현명하다.

 

- 계속 -

[ⓒ 피앤피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이선용

교육전문미디어, 교육뉴스, 공무원시험, 로스쿨, 자격시험, 대학입시, 유아·초중등교육, 취업

뉴스댓글 >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