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세대 법과대학 학사
2015년 5급 공채 2차 합격, 3차 면접 경험 보유
現) 메가피셋 7급 PSAT 상황판단 교수
1. PSAT 시험은 꾸준한 학습으로 합격 가능한 시험인가?
PSAT은 적성시험에 속하며, 적성시험은 전문지식을 요구하지 않는다는 점이 매우 큰 특징입니다. 따라서 PSAT의 경우, 문제를 바라보는 관점이 중요합니다. 문제는 관점이라고 하는 것이 단기간에 바뀌지 않는다는 점입니다.
따라서 꾸준한 학습으로 PSAT에 필요한 관점을 학습하고 그것을 체화하는 과정이 필요합니다. 이 과정만 거친다면 누구든 PSAT에 합격할 수 있습니다. 이른바 피셋형 인간이라고 해서 별 다른 노력을 기울이지 않아도 시험 성적이 잘 나오는 학생들이 있는데요, 우연하게도 자신이 가지고 있는 관점이 PSAT와 잘 맞아떨어지는 사람들일 뿐 IQ가 높은 사람들을 가리키는 것이 아닙니다. 따라서 피셋형 인간이 아니더라도 관점을 바꾸는 학습을 함으로써 얼마든지 합격할 수 있습니다.
2. 상황판단도 이론학습이 중요한가?
상황판단영역에서도 중요하게 출제되는 유형과 그 유형의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이론이 있습니다. 따라서 이론을 학습함으로써 해당 유형의 문제에 빠르게 접근하는 방법을 체득한다면 고득점이 가능합니다.
3. 상황판단이 어렵게 느껴지는 이유
상황판단영역은 문제마다 제시되는 기준과 그에 따른 상황판단이 핵심인 영역입니다. 그러나 제시되는 기준을 고려하지 않고 본인의 생각으로 문제를 해결하다가 오답으로 가는 학생을 수년간 너무 많이 보았습니다. 선입견과 편견을 걷어내고 제시된 기준에 집중한다면, 불필요한 실수를 줄임으로써 점수가 크게 오를 것입니다.
4. 상황판단 학습전략
<나의 위치 진단 & 내게 맞는 학습방향 정하기>
일단 최신 기출문제를 인쇄하여, (시간을 고려하지 말고) 직접 문제를 해결해 보고 점수를 확인해 보면 위치 진단이 가능합니다. 해당 위치에 따라서 단계별로 진입하여 수강을 하면 충분합니다. 다만 인터넷 강의를 활용할 경우에는 학습 계획이 무너지고 학습이 장기화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가능하다면 실강의에 참여하는 것이 좋습니다.
<기출 활용하기>
기출문제 분석은 단순히 문제를 풀고 넘어가는 것을 의미하지 않습니다. 이모저모 따져보면서 출제 의도를 짐작해 보고,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론을 확립하는 과정이어야 합니다. 수강생들의 경우 기본적으로 강의에서 문제를 풀어볼 기회를 가지기 때문에, 추가적으로 2번 정도 회독하면서 핵심을 짚고 습관을 교정하면 됩니다. 7급 PSAT를 준비하는 입장에서는 민간경력자 일괄채용 필기시험 기출문제만 꼼꼼하게 정리해도 시험을 대비하는 데 문제가 없습니다.
<오답노트 활용하기>
기출문제를 분석하는 과정에서 오답노트를 작성하면 도움이 됩니다. 틀린 문제를 한쪽에 오려 붙인 다음, 오른쪽에 그 문제의 포인트가 무엇인지, 왜 틀렸는지, 다시 틀리지 않으려면 어떠한 점을 생각하여야 하는지 등을 적습니다. 시험장에는 이 오답노트를 들고 가면 됩니다.
5. 상황판단 학습 완성하기
<실전모의고사에 임하는 수험생의 자세>
실전모의고사가 특별한 의미가 있다고 생각하지 않습니다. 다만, 해설 강의를 통해서 출제 의도를 학습하고 관련 기출문제로 복습을 한다면, 모의고사에 대한 학습은 충분합니다. 틀린 문제가 마음에 걸린다면 오답노트를 활용하면 됩니다.
<전국모의고사 활용법>
실전 당일 하루를 어떻게 보낼지에 대한 구상을 하는 기회로 활용하고, 2주 주기로 한 번씩 응시하면 적절합니다.
<시험 직전 학습법>
시험 전날에는 충분히 휴식을 취하면서 마인드컨트롤에 집중하여야 합니다. 시험장에서는 본인이 잘하는 것을 그대로 잘하는 데에 초점을 맞추어야 하기 때문에 이 시기에 약점을 보완하는 학습을 하는 것은 그다지 효과적이지 않습니다.
메가피셋 홈페이지에서 성인경 교수님의 시기별 학습전략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피앤피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