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7급 PSAT에 최적화되다!’ 메가피셋입니다. 최근 7급 커뮤니티 내에서 상환판단 과목의 어려움을 호소하는 글들이 급증하고 있는데요, 이에 ‘PSAT 진단과 맞춤전략’ 에서 상황판단 학습방향에 대한 콘텐츠를 다시 한 번 준비했습니다. 오늘은 메가피셋 상황판단 성인경 교수님과 함께 상환판단 학습은 어떻게 시작하고 훈련해야 하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Q1) 간단한 자기 소개 부탁 드립니다.
안녕하세요? 메가피셋 7급 종합반 전임 상황판단 강사 성인경입니다. 시험장에서 직접 PSAT를 경험하며 얻은 실전 노하우를 전달해 드리고 있습니다. 특히 저는 현재 5년째 상황판단 강의만을 진행해 오고 있어서, 누구보다도 전문적으로 PSAT와 상황판단을 어떻게 공략하면 좋을지를 수험생 여러분과 공유하고 있습니다.

Q2) 상황판단 초기 단계에서 반드시 익혀야 할 대표 유형 문제 2가지 선정 후 서면 풀이 부탁 드리겠습니다.
문1. 다음 글을 근거로 판단할 때, <보기>에서 옳은 것만을 모두 고르면? (민경 19나08)
甲은 결혼 준비를 위해 스튜디오 업체(A, B), 드레스 업체(C, D), 메이크업 업체(E, F)의 견적서를 각각 받았는데, 최근 생긴 B업체만 정가에서 10% 할인한 가격을 제시하였다. 아래 <표>는 각 업체가 제시한 가격의 총액을 계산한 결과이다. (단, A~F 각 업체의 가격은 모두 상이하다)
<보 기>
ㄱ.A업체 가격이 26만 원이라면, E업체 가격이 F업체 가격보다 8만 원 비싸다.
ㄴ.B업체의 할인 전 가격은 50만 원이다.
ㄷ.C업체 가격이 30만 원이라면, E업체 가격은 28만 원이다.
ㄹ.D업체 가격이 C업체 가격보다 26만 원 비싸다.
①ㄱ ②ㄴ ③ㄷ ④ㄴ, ㄷ ⑤ㄷ, ㄹ
[정답] ②
[해설]
ㄱ.(×) A업체 가격이 26만 원이라면, E업체 가격이 F업체 가격보다 8만 원 비싸다.
→ A업체 가격이 26만 원이라면, C업체 가격과 E업체 가격을 더한 값이 50만 원이 된다. 그런데 C업체 가격과 F업체 가격을 더한 값이 58만 원이므로, 두 식을 연립하면 F업체 가격이 E업체 가격보다 8만 원 비싼 것으로 확인된다. 따라서 E업체 가격은 F업체 가격보다 8만 원 싸다.
ㄴ.(○) B업체의 할인 전 가격은 50만 원이다.
→ D업체 가격과 F업체 가격의 총액이 82만 원이고 여기에 B업체 가격을 더한 총액이 127만 원이므로, B업체가 제시한 가격은 45만 원이 된다. 그런데 B업체가 제시한 가격은 정가에서 10% 할인한 가격이므로, 45만 원은 정가의 90%에 해당하는 값이다. 따라서 B업체의 할인 전 가격은 50만 원이다.
ㄷ.(×) C업체 가격이 30만 원이라면, E업체 가격은 28만 원이다.
→ C업체 가격이 30만 원이라면 F업체 가격은 28만 원이다. 그렇다면 D업체 가격이 54만 원이다. 그러나 A업체와 E업체의 가격을 알 수 없으므로, E업체 가격을 28만 원으로 단정할 수 없다.
ㄹ.(×) D업체 가격이 C업체 가격보다 26만 원 비싸다.
→ A업체, C업체, E업체 가격의 총액이 76만 원이고, A업체, D업체, E업체 가격의 총액이 100만 원이다. 두 식을 연립하면 D업체의 가격이 C업체 가격보다 24만 원 비싸다.
[선정 이유]
제시된 지문을 보고 어떠한 사고를 하여야 하는지를 잘 보여주는 문제입니다. <표>를 보면 자연스럽게 방정식을 세울 수 있지만, 단순하게 방정식을 세운다고 하여 각 업체의 가격을 구할 수는 없음을 <표>의 구조를 통해 알 수 있습니다. 이러한 시각을 키워서 여러 문제들을 바라본다면 앞으로의 PSAT 공부가 훨씬 수월해질 것입니다.
[오답 관리]
ㄱ.8만 원이라는 구체적인 값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어떤 업체의 가격이 상대적으로 비싼지를 묻는 것이 이 <보기>의 초점입니다. 한국 사람들은 숫자를 보면 계산부터 하는 습관을 가지고 있지만, 공직적격성을 평가하는 상황판단영역에서는 구체적인 사칙연산을 빠르고 정확하게 하는지를 묻지 않습니다. 따라서 숫자보다는 다른 부분에 집중하는 시각이 필요합니다.
ㄷ.지문에서는 각 업체의 가격이 모두 상이하다는 정보를 제공하였습니다. 그렇다면 계산 과정에서 F업체의 가격이 28만 원임이 도출되는 순간 이 <보기>는 옳지 않은 것이 됩니다. 역시 사칙연산에 집중하다보면 떠올리기 어려운 사고입니다. 지문에서 제시하는 조건을 명확하게 인식하면서 각 <보기>를 풀어야 합니다.
문2. 다음 글을 근거로 판단할 때, <보기>에서 옳은 것만을 모두 고르면?(7급 예시04)
여행을 좋아하는 甲은 ○○항공의 마일리지를 최대한 많이 적립하기 위해, 신용카드 이용금액에 따라 ○○항공의 마일리지를 제공해주는 A, B 두 신용카드 중 하나의 카드를 발급받기로 하였다. 각 신용카드의 ○○항공 마일리지 제공 기준은 다음과 같다.
1)이용금액이 월 50만 원 이상 100만 원 이하일 경우
-이용금액 1,000원 당 1마일리지를 제공함.
2)이용금액이 월 100만 원 초과 200만 원 이하일 경우
-100만 원 이하 이용금액은 1,000원 당 1마일리지를, 100만 원 초과 이용금액은 1,000원 당 2마일리지를 제공함.
3)이용금액이 월 200만 원을 초과할 경우
-100만 원 이하 이용금액은 1,000원 당 1마일리지를, 100만 원 초과 200만 원 이하 이용금액은 1,000원 당 2마일리지를, 200만 원 초과 이용금액은 1,000원 당 3마일리지를 제공함.
1)이용금액이 월 50만 원 이상 100만 원 이하일 경우
-이용금액 1,000원 당 1마일리지를 제공함.
2)이용금액이 월 100만 원 초과 200만 원 이하일 경우
-100만 원 이하 이용금액은 1,000원 당 2마일리지를, 100만 원 초과 이용금액은 1,000원 당 1마일리지를 제공함.
3)이용금액이 월 200만 원을 초과할 경우
-70만 원 이하 이용금액은 1,000원 당 3마일리지를, 70만 원 초과 이용금액은 1,000원 당 1마일리지를 제공함.
※ 마일리지 제공 시 이용금액 1,000원 미만은 버림
<보 기>
ㄱ.신용카드 이용금액이 월 120만 원이라면, A신용카드가 B신용카드보다 마일리지를 더 많이 제공한다.
ㄴ.신용카드 이용금액이 월 100만 원을 초과할 경우, A신용카드가 제공하는 마일리지와 B신용카드가 제공하는 마일리지가 같은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ㄷ.신용카드 이용금액이 월 200만 원을 초과할 경우, B신용카드가 A신용카드보다 마일리지를 더 많이 제공한다.
①ㄱ ②ㄴ ③ㄷ ④ㄱ, ㄴ ⑤ㄴ, ㄷ
[정답] ②
[해설]
ㄱ.(×) 신용카드 이용금액이 월 120만 원이라면, A신용카드가 B신용카드보다 마일리지를 더 많이 제공한다.
→ A신용카드의 경우, 첫 이용금액 100만 원에 대해서는 1,000마일리지를, 100만 원을 초과한 20만 원에 대해서는 400마일리지를 제공한다. 따라서 1,400마일리지가 제공된다. B신용카드의 경우, 첫 이용금액 100만 원에 대해서는 2,000마일리지를, 100만 원을 초과한 20만 원에 대해서는 200마일리지를 제공한다. 따라서 2,200마일리지가 제공된다. 결과적으로 A신용카드보다는 B신용카드가 마일리지를 더 많이 제공한다.
ㄴ.(○) 신용카드 이용금액이 월 100만 원을 초과할 경우, A신용카드가 제공하는 마일리지와 B신용카드가 제공하는 마일리지가 같은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 이용금액이 정확히 200만 원이라면, A신용카드가 제공하는 마일리지는 총 3,000마일리지이고 B신용카드가 제공하는 마일리지 역시 총 3,000마일리지이다. 따라서 신용카드 이용금액이 월 100만 원을 초과할 경우, A신용카드가 제공하는 마일리지와 B신용카드가 제공하는 마일리지가 같은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ㄷ.(×) 신용카드 이용금액이 월 200만 원을 초과할 경우, B신용카드가 A신용카드보다 마일리지를 더 많이 제공한다.
→ 예를 들어 이용금액이 월 300만 원인 경우, A신용카드는 6,000마일리지를 제공하는데 B신용카드는 4,400마일리지를 제공한다. 따라서 A신용카드가 B신용카드보다 마일리지를 더 많이 제공한다.
[선정 이유]
역시 제시된 지문을 보고 어떠한 사고를 하여야 하는지를 잘 보여주는 문제입니다. 각 신용카드의 <○○항공 마일리지 제공 기준>이 눈에 잘 들어오지 않을 수 있으나, 마일리지를 제공하는 방식을 서로 비교하면 자연스럽게 나오는 결론을 각 <보기>에서 묻고 있음을 기억할 필요가 있습니다. 이렇게 일종의 추세를 보는 시각은 자료해석영역에서 더 자주 요구되므로,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
[오답 관리]
ㄱ.각 신용카드의 <○○항공 마일리지 제공 기준>에서 이용금액이 월 100만 원 초과 200만 원 이하일 경우만을 비교해 보면, 마일리지를 주는 방식이 서로 반대임을 알 수 있습니다. 따라서 처음부터 마일리지를 더 많이 주는 B신용카드가 총 마일리지를 더 많이 제공할 수밖에 없습니다.
ㄴ.각 신용카드의 <○○항공 마일리지 제공 기준>에서 이용금액이 월 100만 원 초과 200만 원 이하일 경우를 다시 보면, 1마일리지와 2마일리지를 주는 대상 금액만이 서로 반대임을 알 수 있습니다. 따라서 그 대상 금액이 100만 원으로 서로 같다면, 당연히 A신용카드가 제공하는 마일리지와 B신용카드가 제공하는 마일리지가 같아집니다. 그 경우가 신용카드 이용금액이 월 200만 원인 경우인 것입니다.
ㄷ.각 신용카드의 <○○항공 마일리지 제공 기준>에서 이용금액이 월 200만 원 초과일 경우를 서로 비교해 보면, A신용카드는 이용금액이 커질수록 마일리지가 제공되는 속도가 빨라지는 반면 B신용카드는 그 반대임을 알 수 있습니다. 따라서 A신용카드가 마일리지를 더 많이 제공할 수밖에 없습니다.
[ⓒ 피앤피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