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경찰청·과기정통부·산업부·소방·경찰청 공동개발 무인기 초도비행 성공
[공무원수험신문=김민주 기자] 육‧해상 재난 및 치안현장에서 국민을 보호하는 국민안전 감시 및 대응 무인항공기 융합시스템 개발사업(이하 재난치안용 무인기 사업)을 통해 개발된 무인기 시제품이 10월 31일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이하, 항우연) 고흥항공센터에서 성공적인 초도비행을 마쳤다.
이날 재난치안용 무인기 사업의 초도비행 행사에는 해양경찰청·과기정통부·산업부·소방·경찰청 관계자를 비롯해 자문위원 및 개발자 등 주요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초도비행은 해상의 실제환경을 모사하여 해상 감시/사고현장 출동 임무 중 조난자를 발견하고, 소형 무인기가 현장의 영상정보 전송과 구명장비를 투하하는 비행임무 시나리오를 약 15분간 수행하는 형태로 진행됐다. 재난 상황실에서 해상 감시 및 사고 현장 출동 임무를 부여받아 무인기가 자동비행하여 현장 영상정보 전송 임무를 수행하고, 조난자와 같은 특이사항을 확인한 상황실의 판단에 따라 사고현장 근접 촬영 및 영상 분석 소프트웨어로 조난자를 인식한 무인기는 구명 장비를 투하하였으며, 관련 영상 정보를 전송하고 자동 복귀함으로써 성공적으로 임무완수하였다.
재난치안용 무인기 사업은 과기정통부와 산업부가 공통기술개발을 담당하고, 소방청, 해양경찰청, 경찰청이 수요부처별 특화기술개발을 담당하여 다부처 공동개발사업으로 수행하고 있다. 항우연 외 28개 산·학·연 기관 및 기업 간 협업하여 2020년까지 수요부처 요구도 검증시험을 거쳐 개발을 완료할 예정이다.
정부 관계자는 “본 무인기는 방수, 내열, 내풍, 내염 등의 극한 환경 극복과 통신음영 등의 환경에서도 운용 가능하다”라며 향후 “기존 상용드론으로 감당하기 어려운 재난치안 환경(붕괴위험 실내탐색, 화재, 통신음영, 유해화학물질 유출, 해양 환경 등)에 대응할 수 있어 현장 대응능력의 획기적인 향상이 기대된다”라고 밝혔다.
[ⓒ 피앤피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