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인재·저소득층 등 사회통합형 공무원 채용 지속적 확대

이선용 / 2019-10-17 15:24:00
‘2019년 공공부문 균형인사 연차보고서’ 발간…올해부터 지자체·공공기관도 포함
견습직원.jpg

[공무원수험신문=이선용 기자] 지역인재와 저소득층, 장애인 등 사회통합형 인재 선발이 확대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가 발표한 ‘사회통합형 인재 채용 현황’에 따르면, 지난해 지역인재 국가공무원은 총 310명(7급 130명, 9급 180명)으로 2016년 대비 41명이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
 
저소득층 선발 역시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었다. 인사혁신처는 국가직 9급 저소득층 구분모집을 통해 2016년 112명, 2017년 134명, 2018년 137명을 선발했다.
 
다만 지방직의 경우, 선발예정인원 및 비율의 지속적 확대에도 불구하고 2018년 최종선발인원은 592명으로 전년(607명) 소폭 감소하였다. 그러나 2016년(475명)과 비교해서는 큰 폭으로 증원됐다.
 
또 지난해 중앙부처와 지자체 모두 법정 장애인 의무고용률 3.2%를 초과 달성하였다. 최근 3년간 장애인 중앙부처 공무원 고용률은 2016년 3.44%, 2017년 3.47%, 2018년 3.43%로 확인됐다.
 
2018년은 2017년보다 비율이 다소 떨어졌는데, 이에 대해 인사혁신처는 “2018년은 소방·사회복지·생활 안전 등 국민 삶과 밀접한 현장 중심의 신규인력 충원 확대에 따라 모수인 전체 공무원 정원이 증가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정부는 양성평등·장애인·지역인재·저소득층·이공계 등 균형인사 분야별 통계를 한눈에 볼 수 있는 「2019 공공부문 균형인사 연차보고서」를 발간했다고 16일 밝혔다.
 
공공부문 균형인사 연차보고서는 2018년도 기준 통계로 정부의 균형인사 정책을 객관적으로 분석하고 정책의 발전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지난해부터 발간하였다.
 
특히 올해는 그 대상을 중앙부처에서 지방자치단체와 공공기관까지 포함하여 통계에 기반한 균형인사를 추진할 방침이다.
 
인사혁신처 정만석 차장은 “정부 내 다양성 확대를 위한 그간의 노력이 점진적이기는 하지만 효과를 나타내고 있다”라며 “매년 균형인사 연차보고서를 통해 공공부문 균형인사 추진 현황을 있는 그대로 공개하여 정책의 투명성·책임성을 높여 나가는 한편, 미진한 부분들에 대해서는 더욱 면밀히 점검하고 개선해 나가겠다”라고 밝혔다.
 
아울러 “통계에 기반한 분석을 바탕으로 범정부 균형인사 정책의 지속적 발전방안을 모색해 나가겠다”라고 덧붙였다. 

[ⓒ 피앤피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이선용

교육전문미디어, 교육뉴스, 공무원시험, 로스쿨, 자격시험, 대학입시, 유아·초중등교육, 취업

뉴스댓글 >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