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 법원직 9급, 영어·국어 시간 압박 심했다

이선용 / 2019-02-26 13:46:00

공무원수험신문 웹용(297)_2.jpg
 
국어, 문법 지문 길고 난도 높아

영어, 긴 지문과 생소한 문제 다수 출제

 

2019년 법원직 9급 공채 필기시험 당락은 어학 과목에서 결정될 것으로 전망된다. 지난 23일 서울고등학교 시험장에서 만난 응시생들은 이구동성으로 영어와 국어에서 어려움을 겪었다고 입을 모았다.

 

특히 이번 법원직 9급에서 응시생들은 영어 과목의 난도가 높았다고 전했다. 응시생 A씨는 영어는 우선 지문이 너무 길어 심리적으로 부담이 됐고, 생소한 지문도 많아 시간이 절대 부족했다고 시험 후기를 전했다.

 

응시생 B씨는 국어는 문법 지문이 이전의 시험과 달리 길고 난도도 높았다더욱이 1교시에 영어 과목과 함께 시험을 치르다 보니 시간이 더욱 부족했다고 말했다. 또 초시생이라고 밝힌 응시생 K씨는 올해 처음으로 시험장에서 시험을 봤는데, 생각했던 것보다 시간안배가 어려웠다특히 1교시는 지문이 긴 국어와 영어가 모두 포함돼 있어 진땀이 났다고 밝혔다.

 

반면 지난해 난도가 높았던 헌법 등의 법 과목에 대해서는 의견이 분분했다. 응시생 C씨는 법과목 중에서는 민법의 지문이 굉장히 길어 압박이 심했다그러나 실제 문제 난도는 그리 높지 않았다고 말했다.

 

응시생 D씨는 개인적으로 민사소송법과 형사소송법이 어려웠다문제를 아예 풀지 못할 정도는 아니지만 몇몇 문제는 정답을 고르기 쉽지 않았다고 전했다.

 

이같이 올해 법원직 9급 공채 시험은 영어와 국어의 긴 지문에 대한 대처능력에 따라 합격 여부가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

 

한편, 법원행정처는 시험 직후 정답가안과 함께 이의제기 접수가 시작했다. 정답가안에 대한 이의제기는 227일 오후 5시까지 접수할 수 있다. 법원행정처는 이의제기는 해당 과목의 이의제기 내용을 미리 검색하여 이미 등록된 것인지를 확인하여 중복되는 내용의 이의제기는 지양해달라고 말했다. 이의제기 내용에 대한 반대의견 제기도 가능하며, 다만 이의제기에 대한 개별 답변은 하지 않고 최종정답 발표로 갈음한다고 설명했다.

 

최종정답이 확정된 후에는 필기시험 합격자를 313일 발표하고, 인성검사(319)와 면접시험(328)을 거쳐 최종합격자를 44일 확정하게 된다.

[ⓒ 피앤피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이선용

교육전문미디어, 교육뉴스, 공무원시험, 로스쿨, 자격시험, 대학입시, 유아·초중등교육, 취업

뉴스댓글 >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