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공무원 재해보상 기능이 강화된다. 행정안전부(장관 김부겸)와 인사혁신처(처장 김판석)는 공무원 재해보상 기능을 강화는 내용의 「인사혁신처와 그 소속기관 직제 일부 개정령안」을 21일 국무회의에서 의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직제 개정은 소방·경찰 등 위험직무순직공무원의 요건 확대 등 공무상 재해에 대한 국가의 책임을 강화한 「공무원 재해보상법」의 다음 달 시행(9월 21일)에 따른 것이다.
「공무원 재해보상법」의 주요 변경 사항을 살펴보면, 우선 재해보상 급여 청구 절차를 간소해진다. 공무원연금공단의 공무원연금급여심의회와 인사혁신처의 위험직무순직보상심사위원회를 인사혁신처 공무원재해보상심의회로 통합하여 위험직무순직 심사를 2단계에서 1단계로 줄였다. 특히 이번 개정안에서는 공무상 재해를 사전에 예방하고 재해 공무원의 재활 및 직무복귀를 지원한다.
재해예방 사업을 통해 재해발생을 줄이고, 재활 및 직무복귀 지원 사업으로 재해를 입은 공무원의 심리적·사회적 재활과 성공적인 직무복귀를 돕는다. 또 「공무원 재해보상법」에 따른 주요 직제 개정 내용으로는 ▲공무원재해보상심의회 및 공무원재해보상연금위원회 운영·지원을 위하여 ‘재해보상정책관’을 신설하고, 그 아래에 재해보상 정책과 심사 기능 등을 담당할 부서 설치 ▲재해보상정책담당관은 공무상 재해에 대하여 재해예방-보상-직무복귀(재활)의 선순환 체계 마련 ▲또한 공무상 재해에 대한 금전적 보상뿐만 아니라, 재해가 주로 발생하는 직종, 근무환경 등을 분석하여 재해 발생 예방 등 공무원이 직무에 전념할 수 있는 여건을 조성 등이다.
이밖에 신설되는 재해보상심사담당관을 통해 심사 절차를 통합, 간소화하여 유족의 편의를 높이고, 현장‧전문조사제 확대 실시 등을 통해 심사의 전문성을 강화할 방침이다. 공무원 재해보상 기능을 강화하는 직제 개정령안에 대해 행정안전부의 한 관계자는 “이번 인사혁신처 조직개편은 법 제정 취지에 따라 공무원 재해보상 능을 강화하기 위해 이루어졌으며, 앞으로도 공무원 재해보상제도가 원활히 운영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라고 말했다.
또 김판석 인사혁신처 처장은 “이번 조직개편은 국민을 위해 헌신‧봉사하는 경찰‧소방 등 현장공무원이 공무수행 중 재해를 입은 경우 국가책임을 강화할 수 있도록 지원 체계를 마련한 것으로, 앞으로도 인사혁신처는 공무원들이 안심하고 직무에 전념할 수 있도록 법과 제도 마련에 주도적인 역할을 해나가겠다”라고 밝혔다.
[ⓒ 피앤피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