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북한 소행으로 추정되는 국내 전산망 마비, 개인정보 해킹 등 사이버 테러 사건이 지속되고 있는 가운데 경찰청이 드디어 칼을 빼들었다.
지난달 28일, 경찰청에서는 급증하는 북한의 사이버공격 및 대남 사이버 선전선동을 차단하기 위해 대규모 사이버 안보 전문인력 특채를 추진한다고 밝혔다.
경찰청에 따르면 2013년 26명 경장 채용을 진행 중에 있으며, 2014년에는 팀장급 경위 2명을 포함 24명의 인원을 채용한다고 전하였다.
특히 팀장급인 경위 특별채용은 학력과 경력, 전문성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하여 해킹, 네트워크 등 IT전문분야에 역량이 큰 인재를 선발할 계획이다.
경찰청은 향후 조치 계획에 대해 “앞으로 사이버 보안 전담과를 창설하는 등 북한의 사이버상의 안보위해행위에 더욱 체계적이고 엄정하게 대응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또 “북한의 사이버 공격 및 선전 선동에 대응하기 위해, 해외 친북사이트 차단과 불법선전물 삭제, 불법카페 폐쇄 등 국내에서의 사이버 선전선동 차단을 위해 적극 노력하고 있다”고 설명하였다.
한편, 북한의 대남 사이버 테러는 7.7 디도스(’09년), 3.4디도스(’11년), 농협전산망 해킹 사건(’11년), 중앙일보해킹사건(’12년), 2013년 3월 20일 KBS·MBC·YTN과 농협·신한은행 등 방송·금융 6개사 전산망 마비 사태가 발생한 3.20 사이버 테러 등으로 심각한 수준인 것으로 확인되고 있다.
북한은 약 3천명 규모의 사이버 전력을 보유한 것으로 추정 되고 있으며, 정찰총국 소속 사이버연구소를 중심으로 사이버 사령부를 창설하고, 국방위·노동당 산하에 1,700여명으로 구성된 7개 해킹조직을 운영하고 있는 것으로 최근 밝혀진 바 있다.
[ⓒ 피앤피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