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교내신, 절대평가(A~E), 상대평가(1~5등급) 성적 함께 기재
사회·과학 교과(9개 과목) 상대평가 석차등급 미기재
입시관련 가짜뉴스·불안마케팅 적극 대응
[피앤피뉴스=마성배 기자] 2028학년도 대학입시제도가 확정되었다. 통합형 과목체계 도입은 시안대로 유지하고 심화수학은 포함시키지 않으며, 고교 내신은 5등급제로 개편한다.
교육부는 지난 10월 10일 ‘2028 대학입시제도 개편 시안’을 발표하고, 국가교육위원회에 의견 수렴을 요청한 바, 국가교육위원회는 시안에 대해 심층 논의를 거쳐 지난 22일에 심의·의결했다고 밝혔다.
시안의 핵심적인 내용은 유지하면서도 국가교육위원회의 의결 내용을 존중하여 시안 중 일부를 조정한 ‘2028 대학입시제도 개편안’을 확정하였다.
확정된 2028학년도 대학입시제도 개편 확정안의 내용은 통합형 과목체계 도입은 개편 시안대로 국어, 수학, 사회·과학탐구, 직업탐구 영역은 선택과목제 폐지하고 사회·과학탐구 영역은 2022년 개정 교육과정 교과목인 ‘통합사회’와 ‘통합과학’을 출제하며, 모든 응시자가 선택 없이 동일하게 응시한다. 사회, 과학 2개 모두 응시 가능하고, 다만 대입전형 활용 등을 고려해 시험시간과 점수는 분리한다.
국가교육위원회의 의결 내용을 존중하여 ‘심화수학(미적분Ⅱ·기하)’은 수능 출제과목으로 포함하지 않는다. 이는 심화수학으로 인해 사교육이 유발되고 학생·학부모 부담을 가중된다는 점과 대학은 학생부를 통해 학생의 수학적 역량과 심화학습 여부를 충분히 확인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했다. 그 외 수능 영역, 평가 및 성적 제공방식, EBS 연계방식 등은 현행대로 유지한다.
수능 이권 카르텔 근절방안은 ▲학원에 문항 등을 판매한 사교육 영리행위자를 배제하고, ▲검증된 인력풀 내에서 무작위로 선정해 사교육 영리행위 여부를 과세정보로 빈틈없이 확인하며, ▲출제 후에는 5년간 참여 경력을 이용한 사교육 영리 금지시키고 위반 시에는 처벌근거를 마련할 계획이다.
고교 내신체제는 기존 내신 9등급제를 5등급제로 개편하고 과목별 평가결과는 절대평가(A~E), 상대평가(1~5등급) 성적을 함께 기재한다. 단, 체육·예술·교양 교과(군), 과학탐구실험 과목은 절대평가 성취도만 기재한다.
고등학교 융합 선택과목 중 사회·과학 교과(9개 과목)는 상대평가 석차등급을 기재하지 않는다. 이는 대입 안정성을 확보하면서도 고교학점제에서의 학생 선택권을 확대하고, 융합학습의 대표교과인 사회·과학 융합선택 활성화를 통해 교과 융합 및 실생활과 연계한 탐구‧문제해결 중심으로 수업을 내실화할 수 있으며, 사회·과학 융합선택 중심으로만 이수하지 않도록 장학 지도 실시, 교육과정 개정 시 보완방안을 강구할 계획이다.
지식암기 위주 평가(5지선다형)는 가급적 지양하고 사고력·문제해결력을 평가할 수 있는 논·서술형 평가를 확대한다. 내년부터 모든 고교 교사의 평가 전문성 향상연수를 집중 실시할 계획이다.
교육부는 “대입제도 개편안을 확정함에 따라, 학생·학부모, 고교·교육청, 대학 등이 ‘2028 대입제도 개편’에 충실히 대비할 수 있도록 지원할 예정이다”라고 하면서, “입시와 관련된 가짜뉴스·불안마케팅에는 적극 대응할 방침이고, 내년에 2028 수능 개편안에 따른 예시문항을 개발·공개하며, 고등교육법 개정 및 교육과정 개정 시 보완방안 협의와 수능관리규정 제정 등을 추진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국가교육위원회 논의 경과>
‘2028 대학입시제도 개편 시안’ 국가교육위원회 상정(’23.10.10)→제18차~제24차 전체회의를 통해 2028 대입개편 시안 토론(’23.10.10~12.22)→국가교육위원회 산하 ‘대학입시제도 개편 특별위원회’, ‘국민참여위원회’, ‘국가교육과정 모니터링단(중등교원)’을 통해 2028 대입개편 시안 의견수렴(’23.10~12)→‘2028 대학입시제도 개편 시안’에 대한 국가교육위원회의 의견 의결(’23.12.22)
피앤피뉴스 / 마성배 기자 gosiweek@gmail.com
[ⓒ 피앤피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