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시·정시 통합으로 학생 수업 충실도 강화 및 공정성 확보 목표
AI 채점 시스템과 평가전문교사로 공정하고 신뢰성 있는 평가 지원
[피앤피뉴스=마성배 기자] 경기도교육청(교육감 임태희)은 21일, '교육 본질 회복을 위한 미래 대학입시 개혁 방안'을 공개하며 2026학년도부터 내신 평가에 서·논술형 평가를 확대하고, 2032학년도부터 대학수학능력시험에 5단계 절대평가와 서·논술형 문항을 도입한다고 밝혔다.
임태희 교육감은 “대학입시는 교육 본질을 회복하기 위한 핵심 요소”라며 “경기도교육청이 대한민국 교육의 3분의 1을 책임지는 만큼, 학생 중심의 미래교육을 위해 대입 개혁에 앞장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2026학년도 중학교 1학년부터 지필평가에서 서·논술형 평가 비중을 점차 확대하고, 고등학교 내신 성적은 모든 과목에서 절대평가를 적용할 예정이다. 학생들은 단순 암기에서 벗어나 문제해결 능력과 논리적 사고력을 키울 기회를 얻게 된다.
2032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은 5단계 절대평가와 더불어 서·논술형 평가 문항을 도입해 창의적 사고력과 분석력을 평가한다. 경기도교육청은 이를 통해 기존 점수 위주의 경쟁을 지양하고 학생들이 학문적 탐구와 자기계발에 집중할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할 계획이다.
경기도교육청은 고3 2학기까지 수업에 충실히 참여하도록 현재 분리된 수시와 정시 전형을 통합하고, 이에 따른 전형 일정을 조정할 것을 제안했다.
논술형 평가의 공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인공지능(AI) 기반 채점 시스템을 개발하고, 이를 시범 운영할 계획이다. 또한, 경기평가관리센터의 역할을 확대하고 평가전문교사 운영 등을 통해 교사의 평가 역량을 지원할 방침이다.
경기도교육청은 이 같은 대입 개혁을 통해 학교가 학생들의 행복한 미래를 준비하는 공간이 되도록 할 것이라 밝혔다.
임 교육감은 “교육 본질 회복과 미래교육으로의 전환을 위해 사회적 공론화를 거쳐 2032년 대학입시 개혁안을 확정할 것”이라며 “이를 바탕으로 국가교육위원회와 긴밀히 협의해 구체적인 실행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도교육청은 국가교육위원회, 교육부, 전국시도교육감협의회 등과 협력해 대입 개혁 방안을 논의하고, 구체적인 실행 계획을 단계적으로 추진할 예정이다.
피앤피뉴스 / 마성배 기자 gosiweek@gmail.com
[ⓒ 피앤피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