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야 돌봄 확대·24시간 아동센터 등 취약시간 보호 방안 논의
소방청·해수부·식약처 등 분야별 안전대책 긴급 점검
“어린이 혼자 있는 시간 많아지는 방학…정부가 책임지고 보호”
▲김광용 행정안전부 재난안전관리본부장이 7월 11일(금) 정부서울청사 서울상황센터에서 어린이 안전대책 관계기관 긴급 점검회의를 주재하면서, 돌봄 서비스 강화를 위한 개선방안과 화재, 물놀이, 식품 등 안전관리 대책을 논의하고 있다.(행정안전부 제공) |
[피앤피뉴스=마성배 기자] 최근 아파트 화재 등으로 어린이 사망사고가 연이어 발생하자 정부가 긴급히 어린이 안전 대책 점검에 나섰다. 특히 여름방학을 앞두고 돌봄 공백이 커질 수 있는 만큼, 돌봄 사각지대 해소와 분야별 안전대책을 두루 보완하겠다는 방침이다.
행정안전부는 11일 김광용 재난안전관리본부장 주재로 '어린이 안전대책 관계기관 긴급 점검회의'를 개최했다. 이날 회의에는 교육부, 복지부, 산업부, 식약처, 소방청, 경찰청, 해경청 등 13개 중앙행정기관과 전국 17개 시·도가 참석해 전방위적인 안전 점검에 나섰다.
이번 회의는 최근 대통령이 “돌봄 사각지대 최소화를 포함해 어린이 안전대책 전반을 재점검하라”는 지시를 내린 데 따른 후속 조치로 마련됐다.
이날 회의에서는 보건복지부와 여성가족부가 중심이 되어 돌봄서비스 개선안을 논의했다. 특히 심야 시간대 돌봄 수요를 반영해 심야돌봄 확대, 저소득층 가정의 이용부담 경감, 24시간 운영 지역아동센터 확충 등이 검토됐다.
정부는 방학을 맞아 보호자가 부재한 시간 동안 아동들이 방치되지 않도록 공공 돌봄체계를 촘촘히 운영하겠다는 입장이다.
돌봄 외에도 어린이에게 닥칠 수 있는 다양한 사고에 대한 예방대책이 함께 점검됐다. 소방청은 가정과 키즈카페 등 민간시설에서의 화재 예방 대책을 공유했고, 해양수산부는 수상 안전, 행정안전부는 교통사고 예방 대책을 설명했다.
교육부는 학교 및 유치원 시설의 안전관리와 안전교육 강화 방안을,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여름철 식중독을 막기 위한 급식 안전관리 강화 방안을 보고했다. 또한 산업통상자원부는 어린이 대상 제품안전 관리 현황을 설명하며, 위험제품 유통 차단 방안도 함께 제시했다.
회의에서는 이러한 부처별 안전대책을 토대로 참석 기관 간 활발한 토론이 이어졌으며, 각 분야 대책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한 보완점들도 논의됐다.
김광용 재난안전관리본부장은 “사고 발생 시 스스로 대처하기 어려운 어린이들을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해서는 국가의 관리체계가 더욱 정교해야 한다”고 강조하며, “특히 여름방학처럼 혼자 있는 시간이 많아지는 시기를 앞두고 정부는 대책을 더욱 촘촘히 점검하고, 현장에서 실질적으로 작동하도록 이행상황도 철저히 관리하겠다”고 밝혔다.
피앤피뉴스 / 마성배 기자 gosiweek@gmail.com
[ⓒ 피앤피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